X

잘나가는 소셜게임에는 뭔가 특별한 게 있다

류준영 기자I 2012.06.22 10:15:28

뻔한 장르 `펀`하게…식상 캐릭터 `신선`하게

[이데일리 류준영 기자]“이 게임, 제발 좀 띄워보자”   대부분 소셜네트워크게임(social network game, SNG)업체 사장들 마음이 이렇게 간절하지 않을까.

`황금알을 낳는 거위`처럼 여겨진 소셜네트워크게임(SNG)이 주목을 이끈 지 2년도 채 안돼 레드오션화 됐다. SNG는 소셜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끼리 사이버농장이나 목장을 경영하며, 수익을 내는 게임을 말한다.

SNG는 대박 사례도 여럿 있지만 쪽박을 찬 사례도 비일비재하다. 한 관계자는 “SNG업계가 마치 SNG게임 실사판처럼 변해간다”고 표현했다. 사이버농장에서 텃밭을 일구는 과정이 지루하게 오래 걸린다는 점은 다른 모바일게임에 비해 작업기간이 2~3배 가량 더 긴 SNG 작업특성과 흡사한 데다 투자수익률(ROI)을 수확량에 빗댈 때 기대보다 떨어짐을 비유한 것이다.

최근 SNG를 접고, 클라우드 노트 서비스 사업으로 전환한 표철민 위자드웍스 대표는 “팜빌(farm vile)로 유명한 징가도 소셜게임 이용자수(월 2억 7000만 명)가 최근 반토막 날 정도로 인기가 시들하다”며 “SNG도 마치 영화시장처럼 스무개 작품 중 하나라도 제대로 터트리기 힘든 상황”이라고 푸념했다.

하지만 성공 해법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와 해외시장에서 가장 잘 나가는 대표적인 SNG 분석을 통해 흥행비결을 알아봤다.
▲ `맨인블랙3` 영화의 재미 그대로
◇농장과 목장을 떠나라 먼저 소재의 다양화가 절실하다. 농장이나 목장 경영 등 천편일률적인 SNG에 사용자들은 질릴 대로 질렸다. 최근 SNG 유행이라면 개봉영화를 모티브로 삼는 것이다.

개봉된 유명 SF영화 `맨인블랙`을 SNG로 옮긴 `맨인블랙3`가 게임로프트에서 출시돼 이주 게임인기순위 7위를 기록했다. 사용자가 비밀조직인 MIB의 지부장이 돼 직원들을 훈련시키고 문제를 일으키는 외계인과 결투를 벌이는 등 원작 영화 설정에 충실한 SNG란 평이다.

앱(APP) 개발 전문업체인 엔터제너스에 이세환 기획자는 “게임유저들은 스토리가 있는 SNG에 더더욱 열광하기 마련”이라며 “특히 `맨인블랙3` SNG에선 영화 속 주인공인 요원K와 J도 등장하는 등 친숙한 캐릭터 연출을 통해 재미를 배가시켰다”고 분석했다.
▲ `패션아이콘` 의상센스 겨루기
또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라는 영화를 모티브로 한 SNG `패션 아이콘(Fashion Icon)`은 여성사용자들에게 크게 어필하고 있다. 일천 가지가 넘는 화려한 복장과 각종 액세서리 등 패션아이템을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다른 사용자와 패션감각을 겨루는 이 게임은 SNG 장르 폭을 획기적으로 넓혔다는 점에서 후환 점수를 받았다.

아울러 새 소재를 발굴한 SNG로 이달 미국 스마트폰 게임 개발사인 님블빗(NimbleBit)이 선보인 `포켓 플레인(Pocket Planes)`을 꼽을 수 있다. 사용자가 전 세계 항공사 총괄 운영자 역할을 맡아 비행기 승객을 목적지로 안내하고, 화물을 운송하는 게임이다.
▲ `포켓플레인` 승객 안내·화물 운송


◇캐릭터, 튀어야 산다 동서양의 신화나 전설에 등장하는 상상의 동물 `용`을 캐릭터화해 성공을 거둔 SNG `드래곤베일(Dragon Vale)`은 종전 애완동물 위주던 SNG에서 벗어난 게임이다.   `용 한 마리 키워보세요`라는 게임홍보문구가 한때 `다마구찌(동물키우기게임)` 열풍을 기억하는 여성사용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다.

제작사 백플립 스튜디오(Backflip Studio)는 용의 `교배시스템`이란 장치를 새롭게 도입해 아기용이 어떤 모습으로 태어날지 궁금증을 갖게 했다. 멋진 날개와 화려한 문양을 가진 용이거나 앙증맞아 보이는 용이 나올 수 있다. 어떤 아기용이 등장할지 알 수 없는 의외성이 이 게임의 재미를 더한다.

▲ `드래곤베일` 전설의 동물 키우기


비슷한 예로 최고매출액 순위 5위에 오른 `스머프 빌리지(Smurfs' Village)`가 있다. 인기 만화 `개구쟁이 스머프`를 SNG에 그대로 옮겨왔다. 파파스머프와 똘똘이스머프, 스머펫 등 인기 캐릭터가 총출동한다.

▲ `스머프빌리지` 인기 원작만화 옮겨와


그러면 묻게 된다. `둘리`와 `뽀로로` 같은 걸출한 토종 캐릭터를 SNG로 가져온 건 없나? 알려진 바에 의하면 지금까지 국산 캐릭터가 SNG 소재로 활용된 경우는 `뿌가`가 유일하다.

`뿌가 레스토랑(Pucca's Restaurant)`은 말 그대로 레스토랑 경영 SNG로 수백여 가지 가게 인테리어와 요리 레시피 등을 사용자가 선택해 유명 맛집으로 키우는 미션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뿌가를 제외하면 토종캐릭터가 소셜게임화 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왜 그럴까? 이세환 기획자는 “민감한 저작권 문제나 수익배분 등을 협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게임 제작보다 더 오래 걸리는 탓”이라고 지적했다.

▲ `뿌가 레스토랑` 토종캐릭터 첫 활용


◇블록버스터급 SNG 강타 올 봄 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가 3세대 SNG라는 타이틀로 내놓은 `바이킹 아일랜드(Viking Island)`는 기존 소셜게임에서 체험할 수 없는 3차원(D) 그래픽과 PC 게임에서나 볼 수 있었던 RPG(Roll Playing Game, 역할수행게임) 등을 전격 도입했다.

스케일만 놓고 보면 블록버스터급 SNG로 당분간 `억` 소리 나는 대규모 물량공세로 만든 SNG가 인기 상위리스트에 오를 전망이다.

정현우 위메이드크리에이티브 `히어로스퀘어`팀 기획파트장은 “바이킹 아일랜드의 차기작인 `히어로 스퀘어`도 거대 규모의 SN-RPG(Social Network Role Playing Game)”이라며 “다른 게임과 차별화된 SNG를 만들기 위해 총 2년 동안 기존 모바일게임 3배가 넘는 개발인력이 투입됐다”고 밝혔다.

다만 초호화 SNG가 경쟁사 게임을 찍어 누르는 전략은 자칫 업체간 출혈경쟁으로 이어질 우려를 낳고 있다.

 

▶ Digital쇼룸 관련 동영상 보기 ◀ ☞애플 IOS6 VS MS 윈도8...`OS·브라우저`戰 개봉박두 ☞2세대 울트라북 어때요

IT전문프로그램인 `디지틸쇼룸`은 이데일리TV에서 매주 목요일 1 30분에 방영됩니다. 또 각 지역케이블TV(Skylife 525)와 인터넷(IP)TV TV, 스마트폰·태블릿 애플리케이션, 이데일리TV 홈페이지(www.edailytv.co.kr)를 통해 실시간 또는 다시 보기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