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미 CDC 올렸다 삭제했던 '코로나19 공기 전파' 사실이었다

박한나 기자I 2020.10.06 08:30:50

"코로나19, 밀폐된 실내 등 이례적 상황서 공기 감염 가능"

[이데일리 박한나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공기를 통해 감염될 수 있다고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인정했다. 단 환기가 잘 안 되는 실내 등 이례적인 환경이라는 단서를 달았다.

(사진=AFP)
CDC는 5일(현지시간)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공기를 통해서도 전염될 수 있다”고 코로나19의 전염 방식에 대한 지침을 업데이트했다.

CDC는 “코로나19 감염자가 6피트(약 1.8m) 이상 떨어져 있던 다른 사람, 또는 이 환자가 어떤 지역을 떠난 직후 다른 사람을 감염시키는 제한적이고 이례적인 상황을 입증하는 일부 보고서가 발행된 적이 있음을 인정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런 경우 감염은 노래나 운동 등 더 강한 호흡을 유발하는 활동과 연관돼 있으면서 환기가 잘 안 되고 폐쇄된 공간에서 발생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도 “우리는 여전히 현재의 과학에 근거해 사람들은 코로나19 환자와 더 오래, 더 가까이 있을수록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고 믿는다”고 했다.

감염자의 콧물이나 침 등 비말이 코로나19의 주된 전염 방식이지만, 환기가 잘 이뤄지지 않는 폐쇄된 환경에서는 공기를 통해 감염될 수 있다고 밝힌 것이다.

공기 중 감염 가능성은 CDC가 지난번 사흘 만에 철회했던 내용이다.

CDC는 지난달 코로나19가 공기를 통해서도 전염될 수 있다고 홈페이지에 올렸다가 사흘 만에 “실수였다”며 이를 삭제했다.

당시 CDC는 권고문에서 “(기침·재채기를 통한) 비말이나 공기 중 입자가 공기 중에 떠돌다가 다른 사람이 이를 들이마시거나 (사회적 거리 두기의 권고치인) 6피트 이상까지 퍼진다는 증거가 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CDC는 사흘 뒤 “이 권고문을 변경하자는 제안의 초안이 실수로 홈페이지에 게시됐다”며 권고를 업데이트하는 중이며 이 절차가 끝나면 업데이트된 문구를 게시하겠다고 설명했다.

과거에도 코로나19 실내 집단감염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과학자들이 ‘공기 전파’를 원인으로 지목하는 연구결과가 잇따라 나왔다.

지난달 초 중국 질병예방통제센터(CDC) 연구진은 학술지 ‘인바이러먼트 인터내셔널(Environment International)’에 발표한 논문에서 공기 전파의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사례를 제시했다. 더불어 지난 1월 19일 중국 저장성의 한 버스에서 발생했던 집단감염의 일부가 실내 에어컨에 의한 공기 흐름으로 이뤄졌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됐다.

`코로나19` 비상

- 전국 교정 시설 코로나 누적 확진자 1238명…동부구치소 10명 추가 - “담배 피우고 싶어”…코로나 격리 군인, 3층서 탈출하다 추락 - 주 평균 확진자 632명, 거리두기 완화 기대 커졌지만…BTJ열방센터 등 '변수'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