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키덜트’ 꽉 잡은 유통업계…‘이것’ 제대로 통했다

김정유 기자I 2024.06.11 08:46:24

티몬 단독판매 中UMPC 신제품 1차 물량 ‘완판’
2차 물량 협의 중, 롯데홈쇼핑은 ‘벨리곰’ 게임 제작
아이파크몰 ‘짱구’ 팝업에 1시간 반 대기줄 ‘눈길’
두터워진 게임소비자들, 게임 통해 고객 흡수 노려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게임’이 국내 유통업계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게임에 익숙한 30~40대들이 주요 소비층으로 떠오르면서 유통업계의 협력도 강화되는 모습이다. 자체 캐릭터를 게임으로 제작하는가 하면 외부 게임업체와의 팝업스토어, 상품 단독 유통 등 다양한 접근을 시도 중이다.

최근 티몬에서 1차 물량이 완판된 아야네오 ‘포켓S’. (사진=티몬)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커머스 플랫폼 티몬은 최근 단독으로 국내 예약판매를 시작한 중국 게이밍기기 아야네오 ‘포켓S’의 1차 물량을 완판했다. 아야네오는 주로 휴대용게이밍기기(UMPC)를 만드는 중국 업체로 최근 세계 게임기기 시장에서 독특한 디자인과 성능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곳이다.

티몬은 최근 UMPC 수요가 확대되자 아야네오의 신제품(포켓S)의 단독 유통권을 발 빠르게 확보해 해외 직구임에도 사후서비스(AS) 등을 지원하며 게임 분야에 공을 들이고 있다. 1차 물량을 완판한 티몬은 현재 예약 페이지를 닫고 아야네오 측과 2차 물량 확보를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포켓S는 지난달 예약판매 페이지 오픈 당시에도 일부 모델(화이트)이 초반부터 품절됐다.

직접 게임시장에 진출하는 유통업체도 있다.

‘벨리곰’이라는 자체 캐릭터 지식재산(IP)을 가진 롯데홈쇼핑이 대표적이다. 롯데홈쇼핑은 벨리곰 IP를 활용한 모바일 게임 ‘벨리곰 매치랜드’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를 위해 콘텐츠 IP 스타트업 마코빌과 콘셉트 기획, 스토리 설정, 게임 제작 등을 1년간 진행해 왔다.

해당 게임은 다음 달 영국을 시작으로 태국, 인도네시아에 먼저 선보인 후 오는 9월엔 국내에도 정식 출시할 계획이다. 자체 IP로 게임을 제작한 최초의 유통업체가 될 전망이다.

유통사와 게임간 팝업도 여전히 활발하다. HDC아이파크몰은 지난달 용산점에서 닌텐도 스위치 신작 게임 ‘짱구는 못말려-탄광마을의 흰둥이’ 팝업스토어를 열었는데 오픈 시간 이전인 오전 8~9시부터 대기줄이 세워지는 등 게임 이용자들을 대거 이끌었다. 팝업스토어 첫날 기준으로 대기 시간이 1시간30분을 넘는 등 큰 인기를 끌어 온라인상에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국내 게임 시장은 나날이 성장 중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대한민국 게임백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국내 게임산업 규모(매출액 기준)는 22조2149억원으로 전년대비 5.8% 성장했다. 같은 기간 게임 이용률도 74.4%로 전년대비 3.1%p 늘었다. 게임 이용자층이 점차 두터워지고 있는 셈이다.

게임 산업의 성장과 이용자층 확대로 게임은 유통업계에서도 중요한 협력 도구로 자리 잡게 됐다는 분석이다. 콘텐츠 특성상 게임은 다양한 상품으로 연계되기 용이하고 소비자들의 시선을 끌어모으는 데도 수월하다. 이에 유통업계도 소비력이 높아진 ‘키덜트’들을 대상으로 게임과 협업을 강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유통시장에서 주요 소비층으로 떠오른 30~40대는 유년기를 게임과 함께 보낸 세대인만큼 친숙하다”며 “소비자들을 자신의 플랫폼 또는 매장으로 끌어와야 하는 유통업체들이 게임 영역으로 외연을 확장하고 있는 이유”라고 말했다.

롯데홈쇼핑이 선보인 모바일 게임 ‘벨리곰 매치랜드’. (사진=롯데홈쇼핑)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