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美 강제 퇴거 시계 ‘짹깍째깍’…연말 시한폭탄”

이지현 기자I 2020.12.01 08:26:55

한국투자증권 보고서
연말 정책 공백기 투자 유의 필요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오는 31일에는 미국 질병관리청(CDC)이 지난 9월 시행한 강제 퇴거(eviction)에 대한 모라토리움이 종료된다. 잠재적 파장이 상당할 수 있어 전문가들은 올해 마지막 고비로 보고 있다.

김성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이 1일 펴낸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인구조사국(US Census Bureau)이 집계한 가장 최근 서베이에서는 월세가 밀린 920만가구 중 16%가 2개월 내 강제 퇴거 대상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집계했다. 33%는 가능성이 다소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전체 월세 가구가 5300개인 점을 감안할 경우 전체 가구 중 8%가 집에서 쫓겨날 위기에 처해있다는 의미다.

김성근 연구원은 “코로나 이전 강제 퇴거율이 3% 부근에 머물렀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상당한 수준”이라며 “강제 퇴거 조치가 임차인에만 영향을 주는 일이 아니다. 임대인도 월세를 받아 주택담보대출을 비롯해 각종 세금과 관리비를 내야 하는 입장이기때문에 잠재적 파장이 상당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이를 ‘강제 퇴거 쓰나미’(Eviction Tsunami)라고 부를 정도다. 여기에 연방정부 차원에서 지급하고 있던 각종 실업 수당도 이달 말로 종료를 앞두고 있어 상황은 더 악화할 수 있다.

지난 부양책(CARES Act)은 주당 600달러를 지급하는 실업수당 외(PAC)에도 PUA(Pandemic Unemployment Assistance)와 PEUC(Pandemic Emergency Unemployment Compensation)로 불리는 실업수당도 시행했다. PUA는 주에서 지급하는 일반 실업수당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지급된다. PEUC의 경우 일반 실업수당은 총 26주간 지급되기 때문에 종료 후 13주간 추가로 지급되는 수당이다. 주 600달러 수당은 여기에 추가로 지급되는 형태였다. 이 600달러는 지난 7월 25일에 종료됐지만, 나머지 두 개의 실업수당은 12월 26일에 종료될 예정이다.

그런데 PUA와 PEUC에 의존하고 있는 사람들이 상당하다. 11월 7일 기준으로 1300만명의 실업자들이 이 두 프로그램을 활용해 실업수당을 타고 있다. 전체 실업자 중 약 65%에 해당하는 수치다. 김성근 연구원은 “연말을 기점으로 실업수당과 강제 퇴거 모라토리움이 동시에 종료될 경우 충격이 상당할 수 있다”며 “아직 MBS 스프레드가 크게 반응하지 않은 상태지만, 만일 영향이 임대인들까지 오게 되면 모기지 체납률도 반응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새로운 부양책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상황은 요원하다. 양당 간 협상이 아직도 본격적으로 재개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어서다. 김 연구원은 “양당이 1월 5일에 예정된 조지아주 상원 선거 결과를 의식하는 모습”이라며 “부양책 통과 여부가 조지아 상원선거까지 불투명한 만큼 연말 정책 공백기를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