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가상자산 현물 ETF 국내 도입, 득보다 실이 커"

김국배 기자I 2024.06.23 14:41:44

한국금융연구원 보고서
가격 하락시 금융시장 유동성·금융사 건전성 악화

[이데일리 김국배 기자] 미국 등에서 비트코인·이더리움 현물 상장지수펀드(ETF)가 승인됐지만, 현 시점에서 국내에 가상자산 연계 상품이 도입된다면 득보다 실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23일 한국금융연구원이 낸 ‘해외의 가상자산 현물 ETF 승인에 대한 고찰’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미국·홍콩·영국 등이 비트코인·이더리움 현물 ETF를 승인했으나, 우리나라는 가상자산 현물 ETF 발행·중개를 금지하고 있다.

서울 빗썸 고객센터에 표시된 비트코인 가격. (사진=연합뉴스)
우리나라도 비트코인 현물 ETF 등 가상자산 연계 상품 발행·거래를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측은 투자자가 제도권 보호를 받을 수 있고 관련 금융 회사가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장점으로 꼽는다.

반면 가상자산 사격이 오를 때 상당한 자본이 가상자산 시장으로 이동해 자원 배분의 비효율성을 높인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우리나라 자본의 상당 부분이 기업 투자 등 미래 현금 흐름을 창출하는 투자 부문에서 가상자산으로 이동하면서 비효율적으로 배분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금융회사가 가상자산 현물 ETF를 직접 운영할 경우 가상자산 현물 거래로 인해 국내 자본이 가상자산 시장으로 더 많이 이동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가격이 내려갈 땐 금융 시장의 유동성과 금융회사 건전성을 악화시키고 금융 시장과 규제 당국의 신뢰를 감소시켜 금융 안정을 저해할 수 있다.

이보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가상자산 가격이 하락하면 연계 상품을 운용하는 금융회사, 이에 투자한 연기금 등이 관련 포지션을 청산하고 유동성 확보를 위해 전통 자산을 매각해 전통 자산의 가격 하락을 초래하는 등 위험이 금융시장에 파급될 수 있다”고 했다.

보고서는 또 개인 투자자가 금융시장 메커니즘과 가상자산 등에 대해 이해가 충분하지 않은 채로 가상자산 연계 상품에 투자를 많이 할 경우 가상자산발 충격으로 ‘펀드런’ 등이 발생해 금융시스템 안정성을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위원은 “가상자산의 가치에 관한 이해가 부족하고 가격 변동성이 큰 현재 시점에서 가상자산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상품을 제도권으로 포섭하는 것은 시장 참여자에게 가상자산이 검증된 자산이라는 인식을 심어줘 앞서 언급한 위험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