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국민연금, 지난해 주총서 반대 목소리 줄었다

김응열 기자I 2024.02.14 08:56:44

CEO스코어, 국민연금 의결권 행사 조사
반대표 던지던 국민연금, 4년 만에 감소

[이데일리 김응열 기자] 국민연금이 투자 기업의 주주총회에서 안건에 반대한 비율이 지난해 들어 4년 만에 처음 감소했다.

(사진=CEO스코어)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지난 2020년부터 2023년까지 국민연금이 의결권을 행사한 기업의 주주총회를 조사한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연금은 601개 기업에서 의결권을 행사했다. 전년 624곳에서 3.7%에 해당하는 23곳 줄었다. 국민연금이 참여한 주주총회도 2022년 717회에서 지난해 680로 37회(5.2%) 감소했다.

국민연금이 참여한 주주총회에서의 안건 수는 △2020년 4494건 △2021년 4235건 △2022년 4345건 △2023년 4046건으로 나타났다.

각 년도의 주주총회에서 국민연금의 반대율은 △2020년 11.2%(503건) △2021년 11.4%(484건) △2022년 15.3%(665건) △2023년 13.8%(560건)로 집계됐다. 2020년 이후 매년 오르던 주주총회 반대율이 2022년 최고점을 찍은 후 2023년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국민연금의 100% 찬성표도 늘었다. 국민연금은 지난해 의결권을 행사한 601개 기업 중 237개(39.4%) 기업의 안건에 100% 찬성했다. 전년 624개 기업 중 224개(35.9%) 기업의 안건에 모두 찬성표를 행사한 것과 비교하면 13개(3.5%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국민연금이 지난해 가장 많은 반대표를 던진 안건 임원 보수와 관련된 내용이다. 총 878건의 ‘임원보수’ 안건 중 가장 많은 251건에 반대하며 반대율이 28.6%를 기록했다. 이외에 △정관변경 16.2% △임원선임 10.3% △주식매수선택권 9.8% △재무제표 등 3.3% △자기주식취득·소각 20.0% △합병·분할 등 6.3%를 기록했다.

국민연금의 반대표는 대체로 줄었지만 일부 기업의 안건에는 많은 반대표가 몰렸다. 국민연금 반대율이 50% 이상을 기록한 기업은 전체의 4.7%(28곳)였다.

전체 안건 모두를 반대하는 경우도 있었다. 실제 지난해 국민연금은 세방전지 주주총회에서 오른 임원선임, 임원보수 등 안건 2개 모두에 반대표를 던졌다.

2024 주총 전망은

- 표대결 완승한 금호석화…'찻잔 속 미풍' 차파트너스, 향후 계획 고심 - 또 실패로 끝난 금호석화 조카의 난 - 다시 붙은 '조카의 난' 금호석화 22일 주총서 판가름…이번엔 일단락?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