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지난해 공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치 대비 29% 감축

이연호 기자I 2023.12.13 08:55:20

391만 톤CO2eq 배출...기준배출량 554만 톤CO2eq 대비 29.4% 감축
지자체 35%로 가장 많이 감축...2045년 공공부문 건물·차량 탄소중립 달성 목표

[이데일리 이연호 기자] 환경부는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이하 공공부문 목표관리제)’ 대상 789개 기관의 2022년도 온실가스 배출량을 분석한 결과, 391만 톤CO2eq(carbon dioxide equivalent·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확인됐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기준배출량 554만 톤CO2eq 대비 163만 톤CO2eq을 줄여 29.4%를 감축한 것이다.
표=환경부.
CO2eq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온실가스의 복사 강제력을 비교하는 단위로 해당 온실가스의 양에 지구 온난화지수를 곱해 산출한 값이다. 기준배출량은 기관별로 지난 2007~2009년 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시설의 신설·증설·폐쇄 등을 반영한 값이다.

기관 유형별로 감축률(기준배출량 대비)을 살펴보면, 지자체가 34.9%로 가장 높았다. 이어 지방공사·공단(30.2%), 공공기관(28.6%), 국공립대학(26.3%), 중앙행정기관(22.7%), 시도 교육청(15.9%) 순으로 나타났다.

공공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지난 2020년 이후 소폭 상승했는데, 이는 코로나19 이후 일상 회복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환경부는 공공부문이 선도해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도록 제도를 재정비할 시점으로 보고, 관계 부처 합동으로 오는 2045년까지 지난 2018년 대비 공공부문 건물·차량의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공공부문 탄소중립 추진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지난 8일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8)’에서 공개했다.

이영석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은 “2050년 국가 탄소중립 달성 및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공공부문의 노력과 성과가 모범이 돼야 한다”며 “탄소중립으로 가는 길은 힘들고 어려운 길이지만 우리와 미래 세대를 위해 반드시 가야 하는 길”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