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와 관련 한 유튜버는 자신의 영상을 통해 ‘스웨덴 캔디’를 맛본 뒤 알록달록한 색상과 젤리와 마시멜로가 합쳐진 듯한 독특한 식감이 특징이라고 했다.
그는 “요즘 이 젤리가 유행이라길래 직구로 사서 몇주 기다렸다”며 “마시멜로와 껌이 섞인 식감이라 특이하고 맛은 있다”고 평가했다. 해당 영상은 폭발적인 조회수를 기록했다.
디저트가 소셜미디어(SNS)의 콘텐츠를 기점으로 소비자에게 퍼지고 있다. 이를 두고 자신과 취향이 비슷한 인물이 구매한 제품을 따라 사는 현상을 이르는 ‘디토 소비’ 양상이 점점 뚜렷해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디토 소비는 ‘마찬가지’를 뜻하는 영어단어 ‘ditto’에서 파생된 용어다. 자신의 취향과 가치관이 비슷한 인플루언서가 구매한 제품을 따라 사는 행위를 뜻한다. 다른 자발적인 소비라는 특징이 모방소비와 다르다.
두바이초콜릿과 마찬가지로 스웨덴 캔디도 해외 틱톡에서 시작됐다. 한 틱톡커가 미국 뉴욕의 스칸디나비아 사탕 전문점인 ‘봉봉(BonBon)’에 방문한 영상이 높은 조회수를 기록한 것이 출발점이었다. 이후 국내 인플루언서의 먹방 영상이 퍼지며 입소문을 탔다.
250~500g씩 포장된 제품의 가격이 5만~8만원을 웃도는 데도 관심이 뜨겁다. 해당 제품을 취급하는 직구 업체들에선 이미 물건이 동났거나 값이 오르고 있다.
비싼 가격 탓의 SNS에서는 국내에서 구할 수 있는 2000원대의 유사 제품을 추천하거나, 젤라틴과 마시멜로 등 직접 재료를 구해 비슷한 맛과 식감을 구현하는 레시피 영상들이 쏟아졌다. 대부분 수십만회에서 많게는 100만회 이상의 높은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접근성이 낮은 디저트를 중심으로 트렌드가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한다. 이영애 인천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디저트는 모든 사람이 관심을 보이는 소재면서, 값이 저렴해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흥미로운 콘텐츠로 뜨기 쉽다”며 “소비자도 과거와 달리 생산자가 만든 제품을 수동적으로 구매하기보다 콘텐츠를 보고, 따라 사는 행위에서 가치를 느낀다”고 한 매체를 통해 설명했다.
하지만 이러한 급격한 유행에는 리스크도 따른다. 전문가들은 유행이 빠르게 지나가면 관련 사업자들이 큰 피해를 볼 수 있다고 경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