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코로나19 확산세 둔화…재택 집중관리군 폐지·무증상자도 보험적용

박경훈 기자I 2022.07.31 12:10:17

신규 확진 7만 3589명, 전주동일 1.12배↑
정점 예측 시기, 8월 중순 28만 → 8월 초 20만명
1회 전화 관찰 집중관리군 폐지 "빠른 처방, 치료 위해"
무증상 밀접접촉자 신속항원검사 3~5만 → 5000원

[이데일리 박경훈 기자] 코로나19 증가세가 확연히 둔화하는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1~2주 내 정점을 관측한 상태다. 이와 함께 재택치료자 중 집중관리군이 폐지되고, 무증상 밀접접촉자도 동네 병·의원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을 때 5000원만 부담하면 되는 등 코로나19 대응도 바뀐다.

코로나19 재유행이 이어지는 31일 서울 용산구보건소에 마련된 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사진=방인권 기자)
31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코로나19 확진자는 7만 3589명으로 집계됐다. 전주 동일(지난 24일) 6만 5373명보다는 불과 8216명, 1.12배 많은 수치다. 지난 24일 기준 전주 동일(17일) 1.62배에 비하면 증가세 둔화가 확연하다.

전문가들은 확산세 둔화 이유로 △4차 접종 참여가 예상보다 높아 감염자 수 감소에 도움이 되고 △‘켄타우로스’로 불리는 BA.2.75 변이의 전파력이 우려만큼 높지 않아 유행을 주도할 가능성이 작아지고 있으며 △한국 국민은 대부분 오미크론 대유행 때 감염됐기 때문에 다른 나라보다 재감염률이 떨어지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방역당국은 당초 예측한 정점인 ‘8월 중순 일 평균 28만명’을 이보다 빠른 시기, 20만명으로 수정한 상태다.

다만 확산세 자체는 진행 중이기 때문에 당국은 일부 코로나19 대응을 변경한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재택치료자 중 고위험군인 ‘집중관리군’ 관리 체계를 폐지한다. 지금까지 60세 이상 확진자까지는 집중관리군으로 분류돼 하루 1회 전화 모니터링을 받았다. 하지만 1일부터 검체를 채취한 확진자는 모두 일반관리군으로 간주한다. 이날 기준 재택치료자는 49만 36명인데, 이 중 집중관리군은 2만 1958명이다.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폐지 배경에 대해 “(집중관리군 대상자들이) ‘차라리 일반의료체계 내에서 하는 게 낫다’는 여러 건의를 줬다”면서 “빨리 처방하고, 빨리 치료를 하는 게 제일 좋다는 의견이 있었기 때문이다”고 밝혔다.

무증상자의 동네 병·의원 신속항원검사도 내달 2일부터는 건강보험을 적용한다. 이전까지는 확진자와 밀접접촉을 했는데, 밀접접촉자로 분류되지 않은 인원은 3만∼5만원 정도의 검사비를 내고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받아야 했다.

앞으로는 무증상자가 의사 판단에 따라 밀접접촉자 등 역학적 연관성이 입증되는 경우에는 호흡기환자진료센터 등에서 실시하고 있는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에 대해 건강보험을 적용한다. 이에 따라 무증상자는 진찰료로 의원 기준 본인부담금 5000원만 부담하면 된다.

코로나19 재확산

- 北, 코로나 재유행 대비 태세…"방역사업 강도 높게 진행" - 환영vs실망…입국 전 코로나 검사 폐지에 엇갈린 여행업계 - 9월 3일 코로나 입국 전 검사 폐지…입국 후 유지(종합)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