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與김성환 "임대사업자 혜택 축소부터…종부세는 중점과제 아냐"

김겨레 기자I 2021.04.28 08:59:37

mbc라디오 '시선집중' 출연
"집값 최초 원인은 3년 전 임대사업자제도"
"상위 20명이 7000채 소유…1인 760채도"
"종부세 논의 없진 않지만 중점 아냐"

[이데일리 김겨레 기자]김성환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가 28일 부동산특별위원회에서 임대사업자 제도 혜택 축소를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논란의 핵심인 종합부동산세 완화는 후순위로 논의할 예정이다.

3일 오후 제주시 구좌읍 행원리 제주에너지공사 신재생에너지홍보관에서 열린 ‘지역주도의 분산에너지 대책 발표회’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성환 의원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김성환 의원)
김성환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mbc라디오 시선집중에 출연해 “논의의 중심이 마치 거기(종부세)에 있는 것처럼 돼 있다”며 “살펴볼 예정이지만 논의의 흐름으로 보면 후순위로 들어다 볼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종부세 완화는)주요 개선 사안이나 중점 과제는 아니다”고 부연했다.

김 수석부대표는 “종부세 이야기를 하기 전에 문재인 정부 들어서 투기수요를 억제하고 실수요자는 보호한다, 이런 큰 기조를 잡았는데 결과적으로 집값이 많이 올랐고 그래서 소위 벼락거지라고 하는 무주택자들의 불만이 굉장히 컸다”며 “여러 가지 문제가 섞여 있는데 최초 원인으로 보면 3년 전 ”이라며 주택임대사업자등록제도를 꼽았다.

김 수석부대표는 “다주택자를 임대사업자로 등록한 것이 시발”이라며 “과도하게 세제 혜택을 줬다”고 지적했다. 그는 “종부세를 면제해주고 임대 후 매도할 때는 양도소득세도 대폭 깎아줘 당시 다주택자가 추가로 주택을 매입하고 매물이 잠기게 되는 문제가 생겼다”며 “이후 법인도 주택을 매입하고 공급이 부족했던 전반의 과정이 있었다”고 했다. 그는 “일단 혜택을 준 임대등록사업자들의 혜택을 현재 단계에서 축소할 수 있는지, 1주택자가 작은 집에 살다가 큰 집으로 옮겨갈 사람들은 어떻게 해야 될지 전반을 들여다보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임대주택사업자)한 분이 가장 많이 소유하고 있는 게 760채를 소유하고 있다. 1등부터 20등까지의 이제 통계를 내봤더니 20등까지 가지고 있는 총 주택수가 7000채가 넘는다”며 “그런 부분을 그대로 두고 다른 정책을 한다는 게 사회정의에 맞겠느냐 라는 차원에서 임대사업자 문제부터 보면서 우리 사회가 가급적이면 주거가 투기 수단이 아니라 거주 수단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해보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종부세 부과 기준 주택 가액을 공시지가 9억원에서 12억원으로 상향해 부과 대상을 좁히는 문제에 대해서는 “논의가 없진 않을 것”이라면서도 “하긴 할 텐데 중점과제는 아니다”고 밝혔다.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다주택자여도 실거주 여부에 따라 세금을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한 데 대해선 “우리 사회에 소위 임대소득 내지는 부동산 불로소득을 철저하게 막자는 취지에 오히려 더 강조점이 있다”며 난색을 표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