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어붙은 아파트 매수심리…서울 이어 지방 8개도 '팔자' 우세

오희나 기자I 2022.01.07 09:20:29

지방 5개 도 수급지수 14개월만에 100 밑으로
서울 92.8, 8주 연속 '공급우위' 지속

[이데일리 오희나 기자] 아파트값 하락지역이 확대되면서 아파트 매수 심리가 얼어붙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물론 수도권과 광역시를 제외한 지방 8개 도에서도 아파트를 살 사람보다 팔 사람이 더 많아졌다.

[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의 모습.
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 수도권과 광역시를 뺀 지방 8개 도의 매매수급지수가 99.9를 기록하며 100 이하로 하락했다. 지방 8개 도의 수급지수가 100 이하로 내려간 것은 2020년 11월 9일(98.9) 이후 1년2개월 만이다.

수급지수는 부동산원이 중개업소 설문을 통해 수요와 공급 비중을 0∼200까지로 지수화한 것으로 매매지수가 기준선 100을 밑돌면 현재 시장에 집을 살 사람보다 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별로는 경남(100.4)과 충남(101.7), 강원(102.4)은 매매수급지수가 기준선보다 높지만 지난주보다 지수는 하락했다. 아파트값이 보합으로 전환된 전남(91.9)과 경북(99.4), 충북(98.3) 지역도 지난주보다 지수가 떨어지며 8개 도 평균을 100 이하로 끌어내렸다.

반면 전북은 지난주 101.5에서 이번주 102.8로 지수가 올랐고, 제주는 99.0으로 지난주와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서울의 수급지수는 92.8까지 떨어지면서 8주 연속 매수자보다 매도자가 많은 ‘공급우위’가 지속되고 있다. 서울의 수급지수는 92.6을 찍었던 2019년 9월 9일 이후 2년4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경기와 지방 5대 광역시도 각각 93.2, 94.4로 지난주보다 하락했다.

이에 비해 방학 이사철을 맞아 일부 지방 아파트 전세 시장은 수요자가 소폭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이번주 수도권 외 지방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는 100.9로 지난주(100.5)보다 0.4포인트 상승했다. 전세 공급에 비해 수요가 늘어난 것이다. 울산(103.9), 전북(103.3), 충남(103.1), 강원(102.0) 등지는 전세 공급에 비해 수요가 많은 가운데 지난주보다 지수도 상승했다.

기준선 이하인 부산(99.7)과 전남(98.0), 대구(93.6), 세종(90.9) 등도 지난주보다는 전세수급지수가 상승했다.

제주의 전세수급지수는 지난주 98.3으로 100 이하로 떨어졌으나 이번주는 103.6으로 다시 기준선을 넘었다.

반면 수도권에서는 서울(94.5)과 경기(95.9)의 전세수급지수가 지난주보다 하락하며 수요 감소 상태가 지속됐다. 다만 인천은 100.2로 지난주(100.1)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