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 "중국산 코로나백신 도입 추진 안해"

최영지 기자I 2021.04.24 16:42:30

한변, 방역당국에 백신 도입 계획 등 정보공개 청구
복지부, 앞서 러시아·중국 백신 도입 검토 가능성 언급

[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최근 보수성향 변호사단체인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모임(한변)의 향후 백신 도입 등을 묻는 정보공개 청구에 방역당국이 “중국산 백신 도입을 추진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23일 대구 수성구 육상진흥센터에 설치된 수성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에서 시민들이 백신접종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날 한변은 “전날 질병관리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도입 계획과 관련한 내용을 회신했다”며 그 내용을 공개했다.

앞서 한변은 지난 12일 “질병관리청과 보건복지부를 상대로 문재인 정부의 코로나19 백신 공급 혼선에 대해 정보공개 청구를 했다”고 밝혔다. 한변은 코로나19 백신 도입 계획과 ‘정부가 화이자 백신 추가물량 초기 공급 제안을 거절했다’는 언론보도에 대한 사실 확인 등을 요청했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현재 중국산 백신에 대해 계약을 체결하거나 구체적으로 도입을 추진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최근 언론보도 등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신규 백신의 개발·허가 동향을 점검하고 있다”고 밝혀, 러시아산 백신 스푸트니크 브이(V)에 이어 중국산 백신 시노백에 대한 도입 여부에 이목이 집중돼 왔다.

한변은 “최근 일부 언론에 의하면 보건복지부는 러시아 백신에 이어 중국 백신 도입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며 “보건복지부는 백신도입 최종책임자라는 질병관리청이 추진하고 있지도 않은 중국산 코로나19 백신 도입을 검토할 수 있는 것처럼 국민에게 혼란을 줘서는 안될 것이다”고 지적했다.

질병관리청은 또 2월 정부가 화이자와 300만 명분의 코로나19 백신 추가 물량을 계약할 당시 “백신을 더 많이 사면 더 많은 물량을 조기에 공급할 수 있다”는 화이자 제안을 거부했다는 한 언론의 보도가 사실이 아니라고 답했다. 8일에도 해당 보도에 대해 “정부는 최대한 많은 백신을 조기 확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범정부 TF(태스크포스)를 출범해 대응 중”이라며 사실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코로나19 백신 전쟁

- [속보]코로나19 백신 2차 신규 접종자 10.7만명, 누적 77.6% - 모더나 백신, 젊은 남성 심근염 위험 화이자의 5배 - 강기윤 의원 “코로나 백신 이상반응 지원 위해 2470억원 증액 필요”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