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병언 사망 결론시 검찰수사·국가배상 문제 어떻게 진행되나

박종민 기자I 2014.07.22 08:58:52
[이데일리 e뉴스 박종민 기자] 유병언(73) 전 세모그룹 회장으로 의심되는 사체가 전남 순천에서 발견됐다. 발견된 시신이 유병언 전 회장으로 최종 확인될 경우 검찰은 유병언 전 회장에 대해 ‘공소권 없음’으로 처분하고 수사를 종결할 가능성이 크다.

‘공소권 없음’은 수사기관이 재판을 청구하지 않는 불기소 처분의 한 유형이다. 대개 피의자가 사망하면 이러한 처분이 내려진다.

△ 세월호 실소유주인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으로 추정되는 시신이 지난달 12일 발견된 가운데 경찰이 22일 오전 전남 순천시 서면의 한 밭에 폴리스라인을 설치하고 있다. / 사진= 뉴시스


인천지검 특별수사팀(팀장 김회종 2차장검사)은 지난 4월 20일 수사팀을 꾸린 후 유병언 전 회장 일가의 경영비리 의혹을 꾸준히 수사해왔다. 검찰에 따르면 유병언 전 회장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 및 배임, 조세 포탈 등의 혐의를 받고 있다. 금액으로는 배임 1071억 원, 횡령 218억 원, 증여세 포탈 101억 원 등 총 1390억 원에 달한다.

검찰은 또 유병언 전 회장이 세월호 침몰사고의 원인인 과적과 복원성 상실 등을 미리 알고도 방치해 대형 참사를 유발했다고 보고 있다. 그를 체포할 경우 업무상 과실치사상죄를 적용할 방침이었다.

그러나 유병언 전 회장이 숨진 것으로 최종 결론이 나면 검찰의 계획은 수포로 돌아갈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게다가 세월호 침몰사고 피해자들에 대한 국가배상도 난항이 예상되고 있다. 실제로 정부의 구상권이 집행되기 위해선 유병언 전 회장을 법정에 세워 책임 관계를 명확하게 입증해야 하기 때문이다.

앞서 검찰은 유 전 회장 일가의 재산과 기독교복음침례회(일명 ‘구원파’) 신도 명의의 차명재산 1054억 원에 대해 4차례에 걸쳐 동결 조치했다. 정부의 구상권 행사를 위해 유병언 전 회장과 청해진해운 임직원 재산 648억 원은 가압류 조치하기도 했다.

결국 ‘공소권 없음’ 처분이 내려지면 세월호 침몰사고에 대한 직·간접적인 책임은 모두 물을 수 없게 된다.

한편 검경은 지난달 12일 전남 순천 송치재 인근의 한 매실밭에서 부패한 남성 시신 한 구를 발견했다. 부패상태가 심해 당시 경찰은 DNA 분석을 의뢰했으며 유병언 전 회장의 친형인 유병일(75·구속기소) 씨의 DNA와 거의 일치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검경은 시신이 유병언 전 회장이 확실한지 여부를 가리기 위해 서울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정밀 부검을 의뢰한 상태다.

▶ 관련이슈추적 ◀
☞ 유병언 일가 비리 수사
▶ 관련기사 ◀
☞ 반백골 변사체 ‘유병언 추정’, 발견 당시 상당히 훼손
☞ 구원파 대변인 “유병언 아니다..아닐 가능성 확실” 반박
☞ "유병언 추정 변사체, 전남 순천서 발견..DNA 상당부분 일치"
☞ 檢 "유병언 검거는 시간 문제..`꼬리` 놓치지 않고 있어"
☞ 유병언 컨테이너 생활? 비상소집 명령까지 내려진 결과..
☞ 檢, 유병언 구속영장 재청구…오늘 발부 결정


유병언 일가 비리 수사

- 유병언 장남 도피 도운 박수경, 항소심에서도 집행유예 2년 선고 - ''유병언 매제'' 오갑렬, 무죄 이유는? - ''유병언 장남'' 유대균, 징역 3년 실형 선고(속보)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