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한일중 CEO들 "경제협력 필요"…상의 실무협의체 꾸린다(종합)

김정남 기자I 2024.06.09 13:53:30

대한상의, 한일중 경제협력에 대한 기업인식 조사 실시

[이데일리 김정남 기자] 한일중 주요 기업인들은 3국간 경제 협력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특히 ‘경제 활성화’와 ‘공급망 안정’에 대한 기대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상공회의소는 3국간 민간 경제협력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공동 연구에 나설 방침이다.

10일 대한상의가 발표한 ‘한일중 경제 협력에 대한 기업인식 조사 결과’를 보면, 3국 기업인들은 경제 협력 필요성에 대해 “반드시 필요하다”(82.4%) 또는 “어느 정도 필요하다”(17.6%)고 응답했다.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기업인은 한 명도 없었다. “반드시 필요하다”는 비율은 중국(91.3%)이 가장 높았고, 한국(84.8%)과 일본(70.5%)이 뒤를 이었다.

(출처=대한상의)


이번 조사는 지난달 27일 ‘제8차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에 참석한 3국의 주요 기업 최고경영자(CEO)들 181명을 대상으로, 각국 언어로 제작한 조사표를 현장에서 배포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대한상의는 일본경제단체연합회,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CCPIT)와 공동으로 행사를 열었다.

3국 CEO들은 경제 협력의 기대 효과에 대해 △경제 활성화(47.8%) △공급망 안정(41.2%) △저출생·고령화 문제 완화(5.9%) △제4국 공동 진출 확대(5.1%) 등을 꼽았다. 한국과 일본은 경제 활성화(한국 84.8%, 일본 54.5%)를 기대하는 기업인이 가장 많았다. 중국은 공급망 안정(84.8%)을 기대하는 이들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런 차이는 3국 기업인들이 협력을 통해 당면 과제를 해결하려는 기대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경제 협력 활성화를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를 묻는 질문에는 △민간 차원의 소통·교류 확대(52.9%) △정부 차원의 외교 협력 강화(25.0%) 등을 꼽았다. 민간 차원의 교류 확대는 3국 모두 최우선(한국 52.2%, 일본 68.2%, 중국 39.1%)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대한상의)


아울러 3국간 우선 추진해야 할 분야에 대해서는 △기후변화 대응(33.8%) △금융·통화 협력(19.9%) △의료 협력·고령화 대응(19.1%)등을 꼽았다. 이 역시 국가마다 우선 순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 금융·통화 협력(26.1%)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반면 일본은 기후변화 대응(54.5%)을, 중국은 의료 협력·고령화 대응(30.4%)을 각각 거론했다.

대한상의는 이같은 조사를 바탕으로 3국간 실무협의체를 꾸링 계획이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주요 CEO들은 경제 협력 필요성과 긍정 효과에 대해 확신에 가까운 공감대를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향후 3국간 민간 경제협력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각국의 우선 추진 과제와 기대 효과 등의 실행을 위한 공동연구 사업을 전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