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현대차, 월드컵 최초 친환경 운영 차량 제공

신민준 기자I 2022.10.20 09:10:08

탄소중립 월드컵 실현 돕기위해 FIFA에 236대 친환경차 지원
아이오닉 5, G80 EV 등 승용·RV 226대와 전기버스 일렉시티 10대로 구성
2022 FIFA월드컵 기간 각국 선수·미디어단 탑승 용도 사용

[이데일리 신민준 기자] 현대자동차(005380)가 월드컵 후원 역사상 최초로 피파(FIFA)에 친환경 자동차를 제공한다.

전기 버스 일렉시티와 전기차 아이오닉5. (사진=현대차)
◇친환경차 포함 총 616대 운영 차량 제공

현대차는 2022 FIFA 월드컵™(FIFA World Cup 2022™, 2022 월드컵)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승용·레저용차량(RV) 446대, 상용 170대 등 616대의 운영 차량을 FIFA에 제공한다고 20일 밝혔다. 이 중 236대는 탄소 중립 월드컵을 위해 친환경차로 구성됐다. 대회 공식 운영 차량으로 친환경차가 사용되는 것은 이번 월드컵이 처음이다.

특히 현대차는 전체 승용·RV 운영 차량 중 약 50%인 226대를 △아이오닉 5 △G80 전동화 모델 △GV70 전동화 모델 △쏘나타 하이브리드(HEV) △코나 하이브리드(HEV) △투싼 하이브리드(HEV) 등 친환경차로 지원한다.

상용 친환경 운영 차량의 경우 전기버스인 일렉시티를 10대 제공한다. 이번에 현대차가 FIFA에 제공하는 차량 중 승용·RV는 VIP와 스태프 탑승 용도로 상용은 각국 선수단과 미디어단 탑승 용도로 사용된다.

현대차는 2022 월드컵 지원차량의 고장 또는 사고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실시간 차량 관제 서비스를 운영한다. 현대차는 운영 중인 차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사고나 고장 발생 시 이를 감지해 서비스 부문에 즉각 알림을 보내 차량입고, 긴급 출동, 수리와 사고 대응 등을 즉각 지원한다.

현대차는 대회 전 기간 신속한 차량 서비스를 위해 서비스와 품질 부문 직원으로 구성된 품질 상황실을 조직해 FIFA 차고지에 상주한다. 현대차는 전기차 배터리 방전 대응을 위해 아이오닉 5 개조차량으로 찾아가는 충전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현대차는 이달 초부터 한달 동안 2022월드컵 운영 차량의 운전자에게 운전과 관리 방법, 교통 법규, 안전 유의 사항, 전기차 특징 등을 온·오프라인으로 강의해 안전한 운행을 돕는다. FIFA는 전기차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카타르 도하 시내에 위치한 운영 차량 차고지에 100킬로와트(kW) 또는 150kW 급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하고 대회 기간 동안 운영을 담당한다.

현대차 관계자는 “이번 2022 월드컵 운영 차량 제공은 월드컵 역사상 최초의 친환경차 지원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며 “현대차는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제라드·박지성 등 포함된 팀 센츄리 출범

한편 현대차는 2022월드컵에서 탄소 중립을 실현하고 축구로 하나가 된 전 세계 사람들과 함께 지속가능한 세상을 만드는데 앞장서기 위해 지난 4월부터 ‘세기의 골’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현대차는 전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 선수 스티븐 제라드(Steven Gerrard)를 주장으로 하는 팀 센츄리(Team Century)를 출범시켰다.

팀 센츄리는 현대차의 글로벌 브랜드 홍보대사 방탄소년단(BTS), 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주장 박지성, 미국 유명 패션디자이너 제레미 스캇(Jeremy Scott), 보스턴 다이내믹스사의 로봇 스팟(Spot) 등 분야별 전문성을 가진 열한 멤버로 구성됐다.

팀 센츄리의 각 멤버는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지구의 지속가능한 미래와 탄소 중립 월드컵을 만들기 위한 메시지 전달과 친환경 목표 수립을 하고 서포터를 모집해 다양한 활동을 펼친다. 현대차는 세계 축구팬들에게 세기의 골 캠페인을 널리 알리기 위해 20~21일(현지 시각) 영국 런던의 피카딜리 서커스(Piccadilly Circus) 전광판에 스티븐 제라드, 방탄소년단, 제레미 스캇 등 팀 센츄리가 출연하는 세기의 골 홍보 영상을 상영한다.

팀 센츄리의 활동 소식 등 세기의 골 캠페인 관련 상세사항은 현대차 월드컵 홈페이지와 현대차 공식 인스타그램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