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시험비행 성공 머스크 스페이스X, 다음은 로봇팔로 로켓 회수?[우주이야기]

강민구 기자I 2024.06.08 22:30:00

스타십 네 번째 시험비행 성공
달착륙선 활용 탄력, 발사대로 로켓 회수 시도 가능성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미국의 우주탐사기업 스페이스X가 스타십의 네 번째 시험비행에 성공했습니다. 인류 최강 로켓을 활용할 가능성을 높인 가운데 다음에는 로켓 추진체 발사대 회수까지 시도할지 관심입니다.

스타십 발사 장면.(사진=스페이스X 중계 영상 갈무리)
스타십은 지난 6일 오전 7시 50분(미 중부시간) 텍사스주 남부 보카 치카 해변의 우주 발사기지 ‘스타베이스’에서 발사됐습니다. 스타십은 1단 로켓인 ‘수퍼 헤비’와 2단 로켓이자 우주선인 ‘스타십’으로 구성됩니다. 발사 이후 1단 로켓이 분리돼 멕시코만에 연착륙했고, 스타십 우주선은 지구 궤도 항로를 비행한 뒤 대기권에 재진입해 인도양에 착수(스플래시다운)했습니다.

스타십이 대기권에 재진입하는 과정에서 극심한 열과 압력을 뚫고 비행하면서 일부 파편이 떨어져 나간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결국 해상 착수에 성공하며 시험 비행 성공을 알렸습니다.

이번 비행으로 달, 화성으로 향한 머스크의 계획이 탄력을 받게 됐습니다. 업계에서도 미국이 준비하는 반세기만의 유인 달탐사 계획이 진전될 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빌 넬슨 미항공우주국(NASA) 국장은 “스페이스X 스타십의 시험 비행 성공을 축하한다”라며 “우리는 아르테미스를 통해 인류를 달로 되돌린 다음 화성을 바라보는 데 한 걸음 가까워졌다”라고 말했습니다.

일론 머스크는 로봇팔을 이용한 로켓 부스터 발사대 회수 가능성을 시사했다.(자료=X 갈무리)
스페이스X는 이번 시험 비행에 성공한 만큼 추진체를 발사대에 있는 로봇팔로 잡아 회수를 시도할 것으로 보입니다. 일론 머스크 설립자는 지난 4월 프레젠테이션에서 4번째 비행에서 추진체를 멕스코만의 ‘가상 타워’에 착륙시킨다면 다음 비행에서는 발사타워의 메카질라 로봇팔로 ‘수퍼 헤비 로켓’을 잡아 발사대에 세우겠다는 계획을 시사한 바 있습니다.

우주에서 귀환하는 우주선과 로켓을 거대한 로봇 팔로 잡아 발사대에 세운다면 해상과 달리 회수와 운송절차 없이 빠르게 로켓을 정비해 다시 우주로 쏘아 보낼 수 있습니다. 스타십의 탑재중량은 100톤에서 150톤 사이인데 완전히 재사용 가능한 만큼 앞으로 공중에서 추진체를 낚아채 정비해 하루 안에 발사할 수도 있게 될 전망입니다.

일론 머스크는 X(옛 트위터)를 통해 “다음 비행에서는 메카질라 로봇팔로 추진체를 잡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했습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