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SK케미칼-풍림P&P, 국내 최초 ‘화학적 재활용 식품 용기 생산’ 맞손

박순엽 기자I 2022.11.01 09:02:48

화학적 재활용 소재 식품 용기 개발·생산 협력
재생 원료 99% 용기 개발에 글로벌 인증 계획
“脫플라스틱 시대, 저탄소 용기로 ESG 경영 강화”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SK케미칼과 풍림P&P가 국내 최초로 화학적 재활용 소재 식품 용기 생산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SK케미칼(285130)은 경기도 성남시 판교 SK케미칼 본사 사옥에서 풍림P&P와 ‘화학적 재활용 식품 용기’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이 자리엔 이동규 풍림P&P 대표이사, 김응수 SK케미칼 코폴리에스터사업부장 등이 참석했다.

풍림P&P는 오뚜기 브랜드의 식품 용기, 포장재 등을 생산하는 식품 포장재 전문기업이다. 최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에 따라 포장재 생산 전 공정에 친환경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으며, 친환경 소재 도입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양사는 이번 협약에 따라 화학적 재활용 원료(r-BHET·recycled BHET)가 99% 사용된 SK케미칼의 ‘스카이펫(SKYPET) CR’을 활용해 다양한 식품 접촉 용기를 개발하고 양산을 위해 협력한다는 방침이다.

SK케미칼은 식품 용기 양산에 필요한 ‘스카이펫(SKYPET) CR’을 공급하고, 풍림P&P는 이를 활용해 재생 원료 함량 99% 용기를 개발, 글로벌 리사이클 스탠다드(GRS) 인증도 획득할 방침이다.

여기서 쓰이는 화학적 재활용은 폐플라스틱을 분해해 순수한 원료 상태로 되돌려 고분자인 플라스틱을 제조하는 기술이다. SK케미칼의 ‘스카이펫(SKYPET) CR’은 기존 석유화학 기반 페트(PET) 소재 대비 온실가스를 약 70% 감축하는 효과가 있다. 지난해 삼다수가 스카이펫 CR이 적용된 생수 리본(RE:Born)을 출시한 데 이어 섬유·필름 용도 시장에서도 온실가스 저감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이동규 풍림P&P 대표이사는 “친환경 실천은 인류의 지속 생존을 위한 최후의 활동으로 절박함을 가지고 추진돼야 할 우리 모두의 사명”이라며 “온실가스를 저감할 수 있는 저탄소 용기를 개발하고 사용해 ESG 경영을 실천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응수 SK케미칼 코폴리에스터사업부장은 “유엔 협약과 국내외 플라스틱 규제로 ‘탈(脫)플라스틱’ 트렌드가 가속화되고 있다”며 “온실가스를 저감할 수 있는 화학적 재활용 소재 ’스카이펫 CR’로 ‘보틀 투 보틀(Bottle to Bottle)’ 순환 경제를 실현하고 ESG 경영에 입각한 사업체계를 한층 강화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김응수(왼쪽) SK케미칼 코폴리에스터사업부장과 이동규 풍림P&P 대표이사가 ‘화학적 재활용 식품용기’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SK케미칼)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