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한은 "美 경제, 내년 4Q에나 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

원다연 기자I 2020.06.28 12:00:00

'최근 미국 및 유로지역의 경제 동향과 하반기 전망'
코로나19 양상·정책대응 효과·충격 장기화 여부 변수
"내년4Q 코로나 이전 GDP 상회에도 과거추세 어려워"

미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가장 큰 타격을 입었던 뉴욕 시의 시민들이 2단계 경제 정상화 조치를 하루 앞둔 21일(현지시간) 센트럴파크 근처에서 쾌청한 날씨를 즐기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미국의 국내총생산(GDP)이 내년 4분기부터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하겠지만, 과거와 같은 상승세를 보이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은은 27일 펴낸 ‘해외경제 포커스-최근 미국 및 유로지역의 경제 동향과 하반기 전망’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은은 향후 미국 경제의 회복 경로는 △코로나19의 전개 양상 △정책대응 효과 △일시적 충격의 장기화 여부 등에 따라, △빠른 회복(V자형) △완만한 회복(U자형) △재침체(W자형)으로 갈릴 것으로 봤다.

미국은 4월 중순 이후 신규 확진자수가 둔화하다 캘리포이나, 텍사스, 플로리다 등 서부 및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세가 다시 확대되고 있다. 한은은 “백신 개발이 지연될 경우 바이러스 감염 우려가 소비심리 회복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미 GDP 비중의 14.6%를 차지하는 캘리포니아, 8.1%를 차지하는 뉴욕 등을 중심으로 한 2차 감염 대란 가능성은 경기 재침체를 불러올 위험 요인이라는 분석이다.

한은은 사상 최대 규모의 미 정부의 재정지원이 본격적인 소비 또는 투자 회복으로 연결될지 역시 불분명하다고 봤다. 미국의 코로나19 위기 대응을 위한 재정지원 규모는 GDP의 14%에 달하는 2.9조원 달러 규모로, 현재 약 1조~3조 달러 규모의 추가 지원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지난 4월중 정부의 현금 지급 및 실업급여에 확대된 가계소득에 개인저축률은 지난 1959년 관련 통계작성 이후 최고치인 33%로 급등한 바 있다. 이달중 뉴욕 연준의 제조업체 서베이에서도 다수의 기업들은 6개월 후 경기 및 신규수주가 현재보다 개선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투자는 낮은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은 “경제주체의 보수적인 지출 행태가 당분간 지속되면서 재정의 성장 제고 효과를 제약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한은은 코로나19로 인한 일시적 충격이 장기 실업, 기업 파산 등의 심화로 장기화될 가능성에 대해서도 우려를 나타냈다. 한은은 “향후 실업률이 경기 개선 등으로 빠르게 낮아지더라도 상당 기간 코로나 위기 이전보다 높은 수준에 머무를 것이란 예상이 중론”이라며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 등의 파산 우려도 대두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이같은 여건을 고려할 때 향후 미국 경기는 ‘완만한 회복’을 나타낼 것이라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한은은 “현 상황에서 ‘빠른 회복’은 기대하기 어려우며, 바이러스 재확산 또는 기업 파산 급증 등이 발생할 경우 ‘재침체’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밝혔다.

△향후 미국의 경기회복 경로에 대한 투자은행 전망. (자료=한국은행)


`코로나19` 비상

- 전국 교정 시설 코로나 누적 확진자 1238명…동부구치소 10명 추가 - “담배 피우고 싶어”…코로나 격리 군인, 3층서 탈출하다 추락 - 주 평균 확진자 632명, 거리두기 완화 기대 커졌지만…BTJ열방센터 등 '변수'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