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비아파트 전세거래총액 비중 역대 최소"

이윤화 기자I 2023.11.20 08:54:08

지방·비아파트 전월세 시장 위축
비아파트의 신뢰 회복 노력 필요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전세시장에서 보증금 보장 불신이 커지며 세입자가 전세를 회피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전세 사기가 주로 일어난 비아파트 전세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20일 프롭테크 기업 직방이 주택 전세거래총액을 분석한 결과 비아파트 시장이 크게 위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전국 주택 전세거래총액은 아파트 181조 5000억원, 비아파트 44조 2000억원이었다. 비중을 살펴보면 아파트 80.4%, 비아파트 19.6%다. 주택 전세거래총액에서 비아파트 비중이 20% 미만으로 떨어진 것은 지난 2011년 주택 임대실거래가를 발표한 이후 올해가 처음이다. 전세시장이 아파트 전세시장은 2023년 들어 가격이 상승하며 회복세를 보였으나, 비아파트 전세시장의 침체는 장기화하고 있다. 비중도 줄어들고 전체 거래 규모도 급감했다.

권역별 주택 전세거래총액은 수도권 178조 4000억원, 지방 47조 4000억원으로 조사됐다. 비중은 수도권 79.0%, 지방 21.0%로 나타났다. 지방 주택전세거래총액 비중은 2014년 20.3%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다. 2022년의 22.2%에 비해 1.2%포인트(p) 낮아져 2015년 전년 대비 1.3% 증가한 이후 가장 큰 폭의 변화가 나타났다.

지방의 비아파트 전세거래총액 비중은 2.5%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고 지방 아파트도 18.5%로 2018년 이후 가장 낮은 비중으로 조사됐다. 수도권도 비아파트 주택 전세거래총액 비중이 17.1%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수도권 아파트 비중만 61.9%로 역대 최대를 차지하면서 지역별·주택유형별 전세시장의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다.

비아파트 전세시장은 전세의 월세전환이 아닌 전·월세를 포함한 비아파트의 모든 임대차 거래가 위축되는 모습이다. 단기적으로는 전세 사기 등으로 임대계약에 대한 신뢰를 잃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방은 장기간 비아파트 전세시장의 위축이 이어지는 중이다.

직방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임대차시장의 신뢰회복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장기적으로는 주택유형에 따른 수요순환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는 고민이 필요한 시기다”며 “또 비아파트 전세시장에서 안전한 거래를 위한 상호 간의 신용과 거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제도와 서비스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