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中, 올해 성장률 목표 '5% 안팎' 제시…역대 최저 목표치

김윤지 기자I 2023.03.05 12:28:52

리커창, 전인대 개회식 업무 보고
목표 CPI 3% 안팎·재정적자율 GDP 3%

[베이징=이데일리 김윤지 특파원] 중국이 올해 경제 성장률 목표치를 ‘5% 안팎’으로 설정했다. 중국 정부가 양회에서 그해 성장률 목표치를 제시하기 시작한 1994년 이후 가장 낮은 목표치다.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2020년에는 성장률 목표치를 공개하지 않았다.

리커창 중국 국무원 총리.(사진=중국 CCTV 캡처)
리커창 중국 총리는 5일 오전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전국 인민대표대회 정부 업무보고에서 이같이 밝혔다.

글로벌 경기침체와 코로나19 재확산 가능성 등 리스크 요인과 시장 기대 심리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중국 정부가 지난해 보다 보수적인 목표치를 제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이 지난해 말 ‘위드 코로나’로 전환한 이후 최근 경제 지표가 예상 보다 빠른 회복을 보여주면서 일각에선 ‘6% 성장’을 목표로 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으나, 지난해 성장률 목표 달성 실패 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중국은 5.5% 안팎을 제시했으나 엄격한 방역 정책 등으로 실제 중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3.0%에 그쳤다.

중국은 올해 소비자 물가상승률 목표를 지난해와 동일 ‘3% 안팎’으로 제시했다. 중국의 지난해 연간 소비자 물가지수(CPI) 상승률은 2.0%로, 엄격한 방역 정책으로 소비 활동이 정체되면서 3% 안팎으로 제시했던 정부 목표치를 밑돌았다.

이와 함께 중국의 목표 재정적자율을 국내총생산(GDP)의 3%로 설정됐다. 중국은 최근 3년 재정적자율 목표치를 2020년(3.6%), 2021년(3.2%), 2022년(2.8%) 등 하향 조정했으나, 올해는 전년 대비 0.2%포인트 확대됐다.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로 중앙정부의 재정 여력이 전년 보다 나아질 가능성이 높아 전년 보다 재정 지출을 늘리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또한 중국은 올해 도시 실업률 목표를 5.5% 안팎으로 설정했다. 지난해 실업률 목표인 5.5% 이내와 비슷한 수준이다. 지난해 12월 도시 실업률은 5.5%를 기록했다. 지난해 중국의 연간 도시 신규 고용은 1206만명으로 목표치였던 1100만명을 초과 달성했다. 올해 도시 신규 취업 인구 목표는 1200만명 이상이다.

리커창 총리는 △재정 정책의 강도와 효과를 높이고 △신중한 통화정책을 실시하고 △위안화 환율을 안정적인 유지하고 △산업 정책을 채택할 때는 발전과 안보라는 요소를 모두 고려할 것이라면서 “올해는 경제 안정을 우선시하고 안정을 보장하며 발전을 추구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