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경기도 '깡통전세' 조회, 1년간 1억1800만 건 이용했다

황영민 기자I 2023.01.02 09:49:00

경기부동산포털에서 제공, 하루 평균 32만 건 이용
최근 거래정보 및 매매가 대비 전세가 확인 가능
포털 서비스 만족도 86.6%가 '만족'

경기부동산포털에서 제공하는 ‘깡통전세 알아보기’ 서비스.


[수원=이데일리 황영민 기자] ‘경기부동산포털’이 선보인 ‘깡통전세 알아보기’ 서비스가 지난해 이용건수 1억1800만 건을 기록했다.

최근 전세왕 사건 등으로 깡통전세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커짐에 따라 관련 서비스 이용도 활성화되고 있는 것이다.

2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부동산포털은 △부동산가격(깡통전세 알아보기, 실거래가 통합조회) △부동산종합정보(토지, 건축물, 개별공시지가, 토지이용계획) △지도서비스(연속지적도, 항공지적도) △중개업·측량업 정보 등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도는 지난 2021년 12월 1일부터 전세가가 매매가보다 높거나 같은 이른바 ‘깡통전세’ 매물을 한눈에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서비스를 개시했다.

‘깡통전세’ 여부를 확인하고 싶은 이용자가 있다면 ‘경기부동산포털’로 접속 후 ‘깡통전세 알아보기’ 메뉴에서 지도로 선택하거나 주소지를 검색하면 검색 지역의 ‘최근 거래 정보(전세·매매 정보)’가 표시되며, 최근 마지막 거래 내역을 기반으로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을 확인해 참고할 수 있다.

이 ‘깡통전세 알아보기’ 서비스는 2022년 한 해에만 총 1억1800만 건, 하루 평균 32만 건이 이용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와 함께 도는 ‘경기부동산포털’에서 우수 중개사무소 등 도민들이 부동산 거래 시 참고할 수 있는 정보를 확대 제공하고, 항공사진 갱신 및 지도 서비스 속도 향상을 위한 기능 개선 등도 추진했다.

그 결과 경기도가 지난해 9월 29일부터 10월 16일까지 포털 이용자 3878명을 대상으로 서비스 만족도를 조사하니 86.6%인 3360명이 경기부동산포털의 서비스에 만족한다고 답했다. 이 중 매우 만족은 42.2%, 만족은 44.4%였다.

고중국 경기도 토지정보과장은 “경기부동산포털은 도민들이 경기도의 부동산 정보를 실생활에 활용하도록 신규 서비스를 매년 확대하고 있다”며 “깡통전세로 피해를 받을 수 있는 도민들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니 현재 전세 계약을 앞두고 있거나 신축 빌라 등 거래가격이 없는 주택의 경우 충분히 사전 정보를 확인하거나 상담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동산 시장 이모저모

- 과천 지정타 '줍줍' 풀린다…청약 자격·규제는 - 신영, ‘신영지웰 푸르지오 테크노폴리스 센트럴’ 4월 분양 - 아파트 1순위 청약자수 4분의 1로 '뚝'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