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청소 늘리고 분뇨처리시설 개선…축사 악취 줄였다

이명철 기자I 2020.11.22 11:00:00

고속도로·신도시 인근 등 10개 지역 개선활동
암모니아 측정수치 줄이고 지역주민 체감 성과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고속도로나 신도시 인근 악취 민원이 많은 축사 대상으로 개선 활동을 벌인 결과 지역주민 체감과 암모니아 수치 등이 상당부분 나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일 축산환경관리원에서 열린 전국 10개 축산악취 우려 지역에 대한 악취개선 성과 공유회의에서 참석자들이 논의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일 축산환경관리원에서 전국 10개 축산악취 우려 지역에 대한 악취개선 성과 공유회의를 개최했다고 22일 밝혔다.

앞서 5월 농식품부는 고속도로·혁신도시·신도시 인근 등 10개 축산 악취 개선 필요 지역을 선정했다. 축산환경관리원과 대학교수 등으로 구성한 전문가팀은 이들 지역 내 축사와 가축분뇨처리시설 대상으로 축산악취 원인을 진단하고 개선 활동을 벌였다. 악취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356건의 단기 개선사장 중 86.0%(306건) 이행을 완료했다.

이번 보고회에서는 지자체 담당자와 전문가들이 지역별 악취 개선 사례를 발표하고 미흡한 사항의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안성시는 돈사 내부 청결 관리와 분뇨처리시설 관리요령 교육·컨설팅 등을 통해 암모니아 측정 수치가 25ppm에서 10ppm으로 60% 가량 감소했다.

악취 민원이 잦던 김제 신암마을은 고압세척을 이용한 축사 청소와 주기적인 미생물 사용 등으로 무취 일수가 2018~2019년 대비 25% 증가하고 유효 악취 발생일수는 약 54% 줄었다.

상주의 중소양돈농가(5개소)는 지역협의체가 분뇨 공공처리시설 등을 확보해 악취 문제를 개선했다. 미부숙 퇴비 야적으로 악취 문제가 지속된 오송역 인근은 단속을 강화하고 퇴액비 부숙·살포요령 교육을 실시해 농가 평균 암모니아 수치를 6.5ppm에서 2.6ppm으로 낮췄다.

암모니아 수치가 100ppm까지 상승했던 예산군은 농가 교육·모니터링을 통해 5ppm으로 크게 감소했다. 고질 악취 문제를 겪던 제주시 한림읍은 가축 사육밀도를 낮추고 퇴비사 밀폐화 등 관리를 강화해 암모니아 수치가 평균 13.3ppm에서 최종 9.8ppm으로 33% 낮아졌다.

악취지역 현장평가단에 참여했던 안희권 충남대 교수는 “농장주들이 스스로 악취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고 지역·농가들이 노력한 지역은 악취가 상당히 감소했다”며 “일부 개선노력이 미흡한 지역의 농가는 악취가 개선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농식품부는 이번 성과 공유회의를 통해 지자체·농가들의 악취 개선 활동과 우수사례를 공유·확산해 축산 악취개선에 적극 노력토록 지역적 붐을 조성할 계획이다.

정경석 농식품부 축산환경자원과장은 “지역과 농가단위의 악취 개선 노력들이 전국으로 확산되도록 지자체·생산자단체 등과 적극 협력하는 등 가능한 모든 노력을 경주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