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11월 물가 4개월 만에 상승폭 둔화…농산물은 30개월 만에 최대↑(상보)

김은비 기자I 2023.12.05 08:42:35

통계청, 11월 소비자물가 동향
11월 물가 전년 동월比 3.3%↑…전월비 0.5%p↓
농산물 13.6% 올라…2021년 5월 이후 최대 상승폭
석유류는 5.1% 하락…국제 유가 하락 등 영향

[세종=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3.3% 오르면서 4개월 만에 상승폭이 둔화했다. 하지만 농산물 물가가 30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상승하며 ‘먹거리 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다가온 김장철, 배추 가득한 농산물시장(사진=연합뉴스)
2일 통계청의 ‘1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2.74(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3% 올랐다. 지난 7월(2.3%) 이후 가장 낮은 상승폭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7월(6.3%)을 정점으로 올해 3월 4.2%, 4월 3.7%로 점차 하락세를 보인 뒤 7월 2.3%까지 하락했다. 하지만 국제유가 상승에 기상 악화로 인한 농산물 가격 상승 영향으로 △8월 3.4% △9월 3.7% △10월 3.8%로 3개월 연속 상승했다.

물가가 하락세로 전환한 건 국제유가 하락으로 석유류가 전년 동월 대비 5.1% 하락한 영향이 크다.

하지만 농축수산물(6.6%) 등 먹거리 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농산물은 같은 기간 13.6% 상승해 지난 2021년 5월(14.9%) 이후 30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나타냈다. 사과(55.5%)와 쌀(10.6%)의 증가세가 두드러진 반면, 국산쇠고기(-3.6%), 돼지고기(-2.4%) 등은 하락했다.

공업제품 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 상승했다. 전기·가스·수도의 경우 지난해보다 9.6% 상승했다. 전기료(14.0%), 도시가스(5.6%) 등이다.

서비스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3.0% 상승했다. 보험서비스료(12.9%), 공동주택관리비(5.4%)가 전체 상승을 이끈 반면 승용차임차료(-22.8%), 유치원납입금(-9.7%) 등은 하락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3% 올랐다. 지난 9월(3.8%) 이후 세 달 연속 하락세다. 또 다른 근원물가 지수인 식료품 에너지 제외 지수는 지난해보다 3.0% 올랐다. 10월(3.2%) 이후 두 달 연속 내림세다.

자주 구매하는 144개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는 115.26(2020=100)으로, 전년 동월 대비 4.0% 상승했다. 이 중 식품은 지난해보다 5.7% 상승했고, 식품 이외 품목은 2.9% 올랐다.

전월세 포함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4% 올랐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4.0% 올랐다. 전월(4.0%) 대비 상승폭이 다소 둔화됐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 하락폭이 확대되고 내구·섬유재 상승폭이 둔화되면서 지난달 대비 상승폭이 둔화됐다”며 “기조적인 측면에서 큰 변동 없이 둔화 흐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