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유방암 새 치료법 실마리 국내 연구진 확인

이지현 기자I 2022.07.11 09:09:54

'Neo-PATH 임상연구' 2상 美 암 학술지 발표
새 치료법 참여 환자 10명 중 6명 완전 관해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인간표피성장인자수용체2(HER2) 양성인 유방암 환자에서 치료 효과는 유지하면서 부작용을 줄일 ‘새 치료법’ 가능성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박연희·김지연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와 정경해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 안희경 길병원 종양내과 교수 연구팀은 대한항암요법연구회(KCGS) 유방암분과에서 국내 6개 기관과 함께 진행 중인 ‘Neo-PATH 임상연구’ 2상 결과를 미국의학협회 종양학 학술지 자마 온콜로지(JAMA Oncology, IF=31.777) 최근호에서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박연희, 김지연, 정경해, 안희경 교수팀


HER2 양성 유방암의 경우 전체 유방암 환자의 20%가량을 차지한다. 다른 유방암과 비교해 재발률이 높고 예후도 나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려 수술에 앞서 세포독성항암제(도세탁셀, 카보플라틴)와 표적항암제(트라스트주맙, 퍼주투맙)를 섞은 ‘TCHP 선행항암요법’을 진행하는 게 일반적이다. 이는 높은 완전 관해율을 보여 표준요법으로 쓰이고 있다. 이 경우 치료 후 평가에서 암이 사라지는 완전 관해율이 50~60% 수준에 달하는 만큼 임상 현장에서 최근 주목받는 치료법이다. 하지만, 늘어난 효과만큼 세포 독성항암제의 독성도 덩달아 커지는 게 문제로 지적됐다.

이에 연구팀은 최근 주목받는 면역항암제에서 돌파구를 찾았다. 기존 치료법에서 세포독성항암제 중 하나인 카보플라틴을 빼고 그 자리에 면역항암제인 아테졸리주맙을 추가했다.

대한항암요법연구회 주관으로 국내 6개 의료기관에서 2019년 5월부터 2020년 5월 사이 모집한 HER2 수용체 양성 환자 67명을 대상으로 새 치료법 ‘Neo-PATH’를 적용해 추적, 관찰했다. 환자들은 새 치료법에 따라 3주 간격으로 6차례에 걸쳐 선행 항암치료를 받은 뒤 암이 진행된 2명을 뺀 나머지 65명이 수술을 받았다. 수술 후에는 세포 독성항암제 도세탁셀을 마저 빼고 표적항암제와 면역항암제로만 12차례에서 14차례까지 항암치료를 추가로 진행했다. 그 결과 항암치료 종료 후 새 치료법에 참여한 환자의 61%가 완전 관해에 도달한 것으로 보고됐다.

부작용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수준으로, 근육통(75%)이 가장 흔했고, 이어 탈모(67%), 발진(6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중등도 이상으로 치료 부작용이 컸던 호중구 감소증과 열성 호중구 감소증 환자는 각각 12%, 5%에 그쳤다. 특히 면역 관련 부작용은 6%로 다른 연구와 흡사한 결과를 보여줬다. 삼중음성 유방암에서 면역항암제의 병용투여가 이제 막 효과를 입증하기 시작한 만큼 HER2 양성 유방암에서도 기대를 걸어볼 수 있는 단초가 마련된 것으로 평가된다.

박연희 교수는 “HER2 양성 유방암은 표적항암제 개발 이후 환자 예후가 개선됐지만,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며 “재발과 전이가 잦다는 점을 고려하면 ‘유방암과 싸울 더 많은 무기’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도 그러한 실마리를 찾기 위해 진행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