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지원, 수준별 맞춤 정책 필요"

김호준 기자I 2021.06.13 12:00:00

중기연,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추진 전략
디지털 기술 활용 소상공인 전체 15% 불과
"인식 개선부터 스마트기기 보급 등 맞춤 정책 필요"

권칠승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일 전북대 상점가 내에 있는 스마트상점을 방문해 소상공인 디지털화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김호준 기자] 정부의 소상공인 디지털화 지원정책에 수준별 맞춤전략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이하 중기연)은 13일 이런 내용을 담은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현황 및 단계별 추진전략’ 보고서를 발표했다.

중기연은 이 보고서에서 “코로나19로 사태가 촉발한 비대면 거래 확대는 전통 소상공인 영업에 치명적 타격을 주고 있다”면서 소상공인 디지털화가 신속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기연에 따르면 현재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고 있는 국내 소상공인은 15% 수준에 머물렀다. 디지털 전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소상공인도 29.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동산업과 수리·기타서비스업 등 업종과 50~60대 소상공인들의 디지털화 수준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중기연은 이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먼저 개별 소상공인의 디지털 역량을 측정하고, 이에 따른 단계별 맞춤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먼저 디지털 인식 부족으로 전통적인 영업 방식을 고수하는 소상공인에게는 디지털 시대에 적응할 수 있도록 기초적인 디지털화를 지원하는 교육ㆍ컨설팅, 인식제고 및 홍보 등 지원 사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디지털화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역량이 부족한 소상공인에게는 디지털 기술 환경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온라인 판매ㆍ배송 체계, 디지털 튜터링(tutoring) 등 지원책을 제시했다.

스스로 디지털화가 가능한 소상공인들에게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영업 방식을 도입할 수 있도록 새 스마트기기 보급이나 가상·증강현실 활용 등에 주력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남윤형 중기연 수석연구위원은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을 효율적 추진하기 위해서는 빅데이터 구축 및 관리, 조직화ㆍ협업화 활용, 불공정 문제에 대비한 보호장치 마련, 지방자치단체 참여 유도 등 다양한 정책 인프라 구축 작업을 병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