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얼차려' 지시한 중대장, 고향 집으로...군 "심리상담 사실 아냐"

채나연 기자I 2024.06.01 16:17:08

중대장 직무 배제 뒤 일시 귀향
경찰, 얼차려 경위·사인 규명 집중
입건까지 시일 소요 전망

[이데일리 채나연 기자] 육군 제12사단에서 훈련병이 완전군장 구보 등 ‘군기훈련’(얼차려)을 받다가 쓰러져 숨진 사건과 관련해 수사 대상에 오른 중대장이 사건 이후 직무배제 및 일시 귀향 조처된 것으로 파악됐다.

훈련병 사망 사건이 발생한 강원 인제군 부대(사진=연합뉴스)
30일 군 관계자에 따르면 숨진 훈련병을 지휘했던 중대장 A씨와 부중대장 B씨는 이 사건 이후 각각 고향 집과 영내 숙소에 머무르고 있다.

A씨는 사건 발생 후 고향이 같은 부사관과 함께 고향 집으로 내려갔으며, 군 당국은 고향 집에 있는 가족을 통해 매일 A씨의 특이사항을 파악하고 있다,

B씨는 원래 머무르던 상급 부대의 숙소에 남아 있으며, 주변 동료들과 상급 부대 측에서 부중대장의 상태를 살피고 있다.

군 당국은 경찰의 소환조사 통보가 있을 시 이에 응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중대장이 귀향하는 과정에서 동행한 사실은 있으나 멘토 지정과 심리상담 지원은 사실이 아니다”고 전했다.

이는 얼차려 사건과 관련해 수사 대상에 오른 중대장에게 군이 멘토를 배정해 심리 상태를 관리하고 있다는 보도에 대한 해명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 28일 군 관계자가 채널A에 “해당 중대장에게 멘토를 배정해 심리 상태를 관리하고 있다”고 알리며 논란이 번졌다.

이에 당시 군 관계자는 조선일보와의 통화에서 “중대장을 혼자 둘 수는 없는 상황”이라며 “통상적으로 군에서는 이런 상황이 발생했을 때 해당 인원에 전우조를 배정해 관리한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경찰은 진상규명을 위해 강원경찰청 훈련병 사망사건 수사전담팀을 꾸려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수사전담팀은 부대 관계자들을 참고인 신분으로 차례로 불러 조사하고 있으며 이들을 상대로 훈련병 사망 당시 상황과 사실관계 여부, 훈련 과정을 조사하고 있다.

경찰은 훈련병들이 군기훈련을 받게 된 이유부터 당시 훈련병의 건강이 이상 증상이 있었는데도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았는지 등 경위를 파악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아울러 연병장 등 부대 내 폐쇄회로(CC)TV 영상도 확보했으나 연병장 CCTV는 전체가 아닌 일부만 비추고 있어 훈련병이 쓰러질 당시 모습은 찍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또 정확한 사망원인을 밝히고자 훈련병이 치료받았던 병원으로부터 받은 의료기록을 들여다보고, 병원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강원경찰청 관계자는 “전반적인 사실관계 확인을 위해 참고인 조사와 현장 조사를 계속 진행 중”이라며 “어느 정도 사실관계가 확인된 후 혐의자(중대장 등 간부 2명)에 대한 조사 일정을 잡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 23일 오후 5시20분께 강원도 인제의 모 부대에서 군사훈련을 받던 훈련병 6명 중 1명이 쓰러졌다. 쓰러진 훈련병은 민간병원으로 후송돼 치료받았지만 상태가 나빠져 이틀 뒤인 25일 사망했다.

사망한 훈련병은 간부 지시에 따라 완전군장 상태로 연병장을 구보로 돌았고, 팔굽혀펴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육군은 사망한 훈련병이 군기훈련을 받은 이유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