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IRA 대응’ LG엔솔, 캐나다업체 3곳과 리튬·코발트 공급 협약

박순엽 기자I 2022.09.23 08:56:23

일렉트라·아발론·스노우레이크와 각각 협약 맺어
황산코발트·수산화리튬 등 공급 예정…세부 협의
‘美 IRA 발효 대응’ 북미 내 배터리 공급망 확보
“북미 내 안정적 원재료 공급망 구축한 데 의미”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배터리(이차전지) 핵심 원재료를 생산하는 캐나다 광물업체 3곳과 코발트·리튬 공급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가장 빠른 전기차 시장 성장세가 예상되는 북미 지역의 배터리 핵심 원재료 공급망 구축을 한층 강화했다는 평가다.

빅터 도디그(왼쪽부터) CIBC 은행장, 킴벌리 라이보 NRCan(캐나다천연자원부) 국장, 필립 그로스 스노우레이크 최고경영자(CEO), 김동수 LG에너지솔루션 전무, 헤더 스테판슨 캐나다 매니토바 주지사,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트렌트 멜 엘렉트라 CEO, 도널드 부버 아발론 CEO, 권순진 KOMIR(한국광해광업공단) 본부장, 나탈리 비샵 캐나다투자청 국장 등이 22일(현지시간)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LG에너지솔루션)
캐나다 광물업체 3곳과 최대 10년간 장기 공급계약 협약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22일(현지시각) 캐나다 광물업체 일렉트라(Electra)·아발론(Avalon)·스노우레이크(Snowlake)와 각각 업무협약을 맺고, 배터리 핵심 원재료인 황산코발트·수산화리튬 등을 공급받기로 했다고 밝혔다고 23일 밝혔다.

이날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협약식엔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포함해 헤더 스테판슨 캐나다 매니토바 주지사, 조지 피리 온타리오주 장관, 김동수 LG에너지솔루션 전무, 트렌트 멜 일렉트라 최고경영자(CEO), 도널드 부버 아발론 CEO, 필립 그로스 스노우레이크 CEO 등이 참석했다.

우선 LG에너지솔루션은 일렉트라와 내년부터 3년간 황산코발트 7000톤(t)을 공급받기로 했다. 황산코발트는 코발트 전구체 화합물로, 전구체는 양극재 재료로 쓰인다. 일렉트라는 북미 지역에서 황산코발트를 정제할 수 있는 유일한 공급 업체다.

또 오는 2025년부터 5년간 아발론이 생산하는 수산화리튬 5만5000t을, 10년간 스노우레이크가 생산하는 수산화리튬 20만t을 공급받기로 했다. 수산화리튬은 고성능·고용량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원료다. LG에너지솔루션은 앞으로 이들 기업과 핵심 원재료 공급에 관한 세부 내용을 협의한 뒤 본 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LG에너지솔루션 CI (사진=LG에너지솔루션)
美 IRA 고려…북미 지역 내 배터리 공급망 구축

LG에너지솔루션은 최근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Inflation Reduction Act)이 발효되면서 북미 지역 내에서 배터리 핵심 원재료를 채굴·가공하는 업체들과 중장기 공급계약을 맺는 등 전략적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있다.

글로벌 경영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 속 기업의 원재료 공급망 다변화 능력이 미래 경쟁력을 가늠할 수 있는 핵심 기준이 되면서 일부 국가에 편중된 원재료 의존도를 낮추고, 경영 불확실성 요인에도 능동적이고 유연한 대처가 가능한 공급망 능력을 갖추는 데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을 맺은 일렉트라·아발론·스노우레이크가 있는 캐나다도 글로벌 니켈 매장량 5위, 정련 코발트 생산 3위 등 세계적인 광물 수출국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협약을 통해 IRA 인센티브 조건에 들어맞는 공급망 구축 능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6월엔 미국 리튬 생산업체인 컴파스 미네랄(Compass Minerals)과 탄산·수산화리튬 공급에 대한 MOU를 체결해 2025년부터 7년간 이들이 생산하는 친환경 탄산·수산화리튬의 40%를 공급받기로 한 바 있다.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CEO 부회장은 “이번 협약은 중장기 사업 전략 발표를 통해 핵심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힌 북미 시장 내 안정적인 원재료 공급망을 구축하는 데 의미 있는 성과”라며 “핵심 광물 업체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꾸준히 확대해 ‘최고 수준의 QCD(Quality·Cost·Delivery, 품질·비용·납기) 제공으로 고객이 가장 신뢰하고 사랑하는 수익성 일등(No.1) 기업’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핵심 원재료 공급망 구축 현황 (표=LG에너지솔루션)
북미 외 지역에도 다양한 업체와 공급망 구축 나서

LG에너지솔루션은 북미 시장 외에도 특정 국가 내 원재료 가격이 급등하는 등 예측 불가능한 공급망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으로 핵심 원재료를 조달할 수 있는 경영 환경을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현재 △유럽 리튬 생산업체인 독일 벌칸 에너지와 5년간 수산화리튬 4만5000t 공급 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호주 라이온타운과 5년간 수산화리튬의 원재료인 리튬정광 70만t 확보 △캐나다 시그마리튬과 6년간 리튬정광 69만t 확보 △세계 1위 리튬 보유국인 칠레의 대표 리튬 업체 SQM과 9년간 수산화·탄산리튬 5만5000t 공급계약을 체결하는 등 다양한 해외 광산 업체들과 업무협약을 통해 중장기 공급 계약망을 확보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