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2030년까지 친환경 선박 입항 비중 20%·연료 공급 30%로 확대

공지유 기자I 2023.11.15 08:00:00

해수부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망 구축방안' 발표
울산항 '거점항만'…2027년까지 LNG 60만t 공급
1조원 규모 펀드 신설해 정부보조금 지원 추진

[세종=이데일리 공지유 기자] 정부가 2050년까지 국제해운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로(0)로 만들기 위해 2030년까지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 비중을 30%까지 확대한다. 또 2030년까지 국적 외항선과 관공선 총 317척을 친환경 선박으로 전환한다.
윤현수 해양수산부 해운물류국장이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망 구축방안’ 관련 사전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해수부)
2030년까지 친환경 선박 입항 비중 20%·연료 공급 30%로 확대

해양수산부는 15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망 구축방안’을 발표했다.

앞서 국제해사기구(IMO)는 지난 7월 영국 런던에서 열린 ‘제80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 회의에서 국제해운 온실가스를 2050년경 순 배출량 제로로 하는 감축목표를 채택했다.

해수부는 친환경 연료 생산시설 및 공급망 구축을 통해 국내 무역항의 경쟁력을 높이고, 국적선의 친환경 선박 전환에도 나선다는 방침이다. 먼저 2030년까지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 비중을 30%까지 확대한다. 올해 0%인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 비중을 2027년 134만톤(t)으로 10%까지 늘리고, 2030년에는 402만t(30%)까지 공급을 확대한다.

친환경 컨테이너 선박 입항 비중도 올해 0%에서 2027년 10%, 2030년에는 20%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친환경 선박연료 항만 저장 능력을 100만t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친환경 선박연료 시장 창출’,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망 구축’, ‘민간투자 유도’, ‘산업기반 강화를 위한 제도개선’등 4대 과제를 추진한다.

먼저 해수부는 울산항을 친환경 연료 공급 거점항만으로 지정해 국내외 선사 수요에 대응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27년까지 액화천연가스(LNG)는 최소 60만t(수요의 25%)을, 그린메탄올은 23만t(수요 전량)을 선제적으로 공급하고 가스공사 통영기지도 예비 공급기지로 활용한다. 윤현수 해수부 해운물류국장은 “울산항에서 LNG 공급(벙커링) 관련 인프라가 갖춰져 있어 울산을 벙커링 전용 항만으로 지정하고, 이런 것들을 이용해 부산항에 벙커링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2030년까지 국적 외항선과 관공선 총 317척을 친환경 선박으로 전환하고, 녹색해운항로도 한-미에 이어 한-호주, 한-유럽연합(EU)까지 확대해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 수요를 창출할 계획이다.
윤현수 해양수산부 해운물류국장이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망 구축방안’ 관련 사전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해수부)
1조원 규모 ‘친환경 선박연료 인프라 펀드’ 신설…정부보조금 지원

또 친환경 선박연료별로 공급망을 구축한다. LNG는 공급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해 선박용 천연가스요금제를 신설하고 직수입을 추진한다. 그린 메탄올은 연료공급 전용선박이 없고 선박 건조에도 시간이 걸리는 점을 감안해 연안 액체화물선의 연료공급 겸업이 가능하도록 관련 규제를 혁신할 계획이다. 암모니아·수소는 향후 수요에 따라 항만 내 생산·저장시설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항만개발 단계에서부터 입지를 먼저 배정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또 1조원 규모의 ‘친환경 선박연료 인프라 펀드(가칭)’를 신설해 친환경연료 공급선박을 신조할 때 선가의 10~30%에 대한 정부보조금 지원을 추진한다. 또 한국해양진흥공사를 통한 투자 및 지급보증 등을 통해 친환경 선박연료 인프라에 대한 민간투자를 유도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또 선박 대 선박(STS) 방식의 연료 공급 안전관리계획 승인제를 신고제로 전환하고, 항만별 수요에 탄력 대응할 수 있도록 탱크로리를 통한 연료 공급 영업구역 제한을 폐지하는 등 제도를 개선할 계획이다. 친환경 연료공급 선박 및 실증 항만사업장에 한시적으로 항비를 감면해 친환경 연료 공급실적도 확보할 방침이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공공주도의 선제적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망 구축과 전방위적 지원을 통해 우리 해운산업과 항만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며 “향후 전 산업분야에서의 친환경 연료 공급망 형성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