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한 총리 “코로나 후유증 대규모 조사 착수…외래 진료기관 통합”(상보)

조용석 기자I 2022.06.10 09:02:56

10일 코로나19 중대본 회의 주재
“코로나 후유증 원인·증상 분석 후 치료 가이드라인 마련”
“코로나 외래진료 기관 통합해 ‘원스톱 진료기관’ 설치”

[세종=이데일리 조용석 기자] 정부가 코로나19 후유증 원인과 증상을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대규모 조사에 착수한다. 또 분산된 코로나19 외래 진료체계도 ‘호흡기 환자 진료센터’로 통합한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는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며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는 지금이 유행 대비의 골든타임이라는 생각으로, 의료대응체계 개편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한 총리는 “그간 코로나19 외래 진료체계는 전화상담을 하는 ‘호흡기 전담 클리닉’과 ‘호흡기 진료 지정의료기관’, 확진자를 대면진료하는 ‘외래진료센터’ 등이 각각 운영되어 국민들이 겪는 혼란과 불편이 적지 않았다”며 “정부는 다양한 코로나19 외래 진료기관을 ‘호흡기 환자 진료센터’로 통합하고 센터별로 가능한 진료 유형을 구분해 안내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검사와 대면진료, 치료제 처방까지 모두 가능한 ‘원스톱 진료기관’은 5000개 이상 확충하고, 국민들이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원스톱 진료기관’ 표시를 하겠다고 덧붙였다.

코로나19 후유증, 이른바 롱-코비드(Long-Covid)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도 착수한다.

한 총리는 “그동안 많은 분들이 코로나19 후유증을 경험하고 계시지만, 이에 대한 제대로 된 조사는 미흡했다”며 “정부는 대규모 조사를 통해 코로나19 후유증의 원인과 증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코로나19 후유증 치료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만들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어 “방역정책 수립시 전문가의 분석과 견해가 더욱 존중되는 구조를 만들 것”이라며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를 설치하고, 위원회에서 감염병 위기상황을 평가해 정책을 제안하면, 정부는 적극적으로 방역정책에 반영하겠다”고 덧붙였다.

한 총리는 아직 코로나19가 종식되지 않았으니 개인방역수칙 준수도 당부했다. 그는 “마스크 착용, 주기적 환기, 고령층 4차접종 등을 적극 실천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