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기아, 내년 PBV 사업 본격화..맞춤형 車 시대 연다[CES 2024]

이다원 기자I 2024.01.09 08:00:57

미래 핵심 PBV, ‘모두를 위한 모빌리티’로
2025년 중형 PBV ‘PV5’ 출시 예고
대형·소형 출시 이어져…신기술도 탑재

[라스베이거스=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기아가 미래 핵심 사업으로 낙점한 목적 기반형 차량(PBV) 사업을 본격화한다. 내년 첫 PBV 차량을 출시할 기아는 PBV를 통해 차별화한 모빌리티 경험을 제공하는 동시에 시장을 선도하는 브랜드로 나아가겠다는 구상이다.

기아가 CES 2024에서 전시할 PBV 라인업. 왼쪽부터 소형 PV1, 중형 PV5 딜리버리, PV5 하이루프, 대형 PV7 콘셉트 모델. (사진=기아)
송호성 기아(000270) 대표이사 사장은 8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준비된 기아가 보여줄, 모두를 위한 모빌리티’를 주제로 열린 CES 2024 미디어데이 행사에서 “새로운 도약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PBV를 설정하고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플랫폼으로의 본격 전환을 준비하고자 한다”며 이같은 전략을 밝혔다.

기아는 PBV 개념을 ‘차량 그 이상의 플랫폼’으로 재정의하고 오는 2025년 첫 중형 PBV ‘PV5’를 출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PBV 사업을 본격적으로 전개하고, 나아가 개인 요구에 맞춰 제작하는 ‘비스포크 모빌리티 솔루션’ 형태로 발전시킨다.

◇ 목적에 맞춘 車의 시대…신기술 도입도 척척

기아 PBV는 차량 호출, 배달, 유틸리티 등 사용 목적에 따라 라이프 모듈을 교체할 수 있는 컨버전 기능을 탑재한다. 또 소프트웨어 기반 차량(SDV)으로 경로와 정보 등 외부 데이터와의 연결성을 강화해 여러 대의 차를 동시에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 기아는 대형·소형 PBV도 순차적으로 추가해 대형 물류 회사, 모빌리티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 사용자까지 소비자 영역을 넓힌다. 대형·소형 PBV에는 디지털 제어·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하며 AI를 기반으로 한 차량 관제·관리 지원까지 데이터 연결 범위를 넓힌다. 나아가 개인 사용자의 기호·목적에 따라 맞춤 제작한 ‘비스포크’ PBV도 출시할 예정이다.

기아는 PBV 로드맵과 현대차그룹 미래 모빌리티 기술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며 생태계를 조성해나갈 방침이다. PBV 개발·출시 속도에 맞게 △자율주행 △미래항공 모빌리티(AAM) △로보틱스 △에너지 그리드 등 기술을 탑재하면서다.

◇ 내년 첫 출시 PBV 모습은…평평한 바닥·넓은 실내 특징

CES 2024에서 기아는 PV5(콘셉트) 실물을 공개한다. 기아의 첫 번째 PBV가 될 PV5는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디자인이 특징이다. 스케이트보드와 같은 PBV 전용 EV(전기차) 플랫폼 위에 다양한 모듈을 체결할 수 있도록 했다.

기아 최초의 전용 PBV가 될 PV5는 전용 EV 플랫폼과 넓은 휠베이스(축거)로 만들어 낸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또 평평한 바닥과 운전석 콕핏, 램프로도 쓸 수 있는 운전대 등이 사무실같은 느낌을 준다.

PV5는 △베이직 △딜리버리(밴) △딜리버리 하이루프△샤시캡 등 다양한 버전으로 출시될 전망이다. 향후에는 모셔널과 함께 개발한 자율주행 ‘로보택시’ 모델도 선보인다.

PV7·PV1 등 대형과 소형 PBV 콘셉트 모델도 함께 전시한다. 대형 PBV인 PV7은 라인업 가운데 가장 넓은 공간을 제공하며 주행 거리도 길다. 소형 PBV인 PV1는 단거리 물류 운송에 최적화했다. 직각 운행이나 사선 주행, 제자리 회전, 피봇 턴(차량을 자유롭게 회전시키는 것) 등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다.

◇ ‘고객 중심’ 생산부터 영업까지 생태계 조성

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기아의 고객 중심 제조 혁신 전략도 이어질 전망이다. 기아는 △PBV 상품기획·개발 단계부터 고객의 의견을 반영하는 고객 참여형 차량 개발 프로세스 △고객별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PBV 전용 비즈니스 시스템 등을 구축키로 했다.

이를 위한 생산·제조 시스템도 기아 오토랜드 화성에 마련 중이다. 연간 15만대 수준의 PBV를 양산할 수 있는 전용 공장 ‘이보 플랜트’(EVO Plant)를 구축하면서다. 이보 플랜트는 디지털 기술과 로봇이 적용되고 컨베이어 시스템과 셀 생산방식을 접목한 생산 체계를 갖춘 스마트 공장이 될 전망이다.

소비자의 스타일에 맞게 라이프 모듈을 교체할 수 있는 ‘이지 스왑’(Easy Swap) 기술도 적용한다. 마그네틱·기계적 체결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유닛을 활용해 차를 새로 사지 않고도 차체를 바꿀 수 있는 기술이다.

기아 CES 2024 주요 이미지. (사진=기아)
소프트웨어 차원에서는 고객 비즈니스에 맞춘 최적화 솔루션을 준비하고 있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차량 관제 시스템(FMS)·충전 등 세 가지 영역의 소프트웨어를 개발 중이다.

IVI는 고객이 필요한 서비스를 직접 개발해 PBV 애플리케이션 마켓에 바로 반영하거나 제3자를 통해 제공받는 방안을 마련한다. PBV를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하는 FMS는 AI를 기반으로 운행 패턴, 고장 형태 등을 분석해 운전자에게 예측 정비 정보를 제공하고 실시간 운행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충전의 경우 고객에게 최적화된 충전 일정과 충전소를 안내하며 V2X(차량사물통신) 등 최적의 충전 인프라를 기반으로 고밀도 에너지 배터리를 활용해 모바일 기기나 비상 장비 등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고객’이 중요한 만큼 기아는 PBV 사업을 통해 다양한 영역에서 고객 수요를 끌어모을 예정이다. PBV에 특화한 ‘기아 PBV 파트너스 데이’를 도입하는 이유다. 또 기아는 새로운 모빌리티 생태계를 위해 우버와 쿠팡, CJ대한통운, 카카오모빌리티 등과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을 예정이다.

CES, 지상 최대의 테크쇼

- "전세계 4300개 기업, AI 등 혁신기술로 협업…CES 성료"[CES 2024] - 웅진씽크빅, AR독서 솔루션 AR피디아로 CES 2024 참가 - CES2024에서 다시 주목 받는 수소... 돌아온 투심에 수소株 '후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