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주춤했던 스마트폰 시장 새해 반등…AI폰 5% 점유"

이소현 기자I 2023.12.31 15:46:38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 스마트폰 보고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암울했던 시기 벗어나"
인도·동남아 등 신흥국, 성장 견인…6%대 성장률
미국 등 선진국, 스마트폰 수요 교체 약세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최근 2년 연속 주춤했던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2024년에는 반등할 전망이다. 새해 판매되는 스마트폰 중 인공지능(AI) 기능을 탑재한 프리미엄 제품은 5%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관측됐다.

스마트폰 화면에 구글의 인공지능(AI) 앱인 바드AI와 오픈AI의 AI앱인 챗GPT 등 기타 AI앱의 아이콘이 표시된 모습(사진=AFP)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는 31일 스마트폰 시장 예측 보고서를 통해 2024년 전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을 2023년(11억3000만대) 대비 4% 늘어난 11억7400만대로 예상했다.

토비 주 카날리스 수석애널리스트는 “스마트폰 산업은 정점을 기록했던 2017년에 비해 출하량은 20% 이상 낮은 수준이지만, 가장 암울했던 시기에서 벗어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2022년에는 12% 축소됐고, 2023년 역시 5%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주춤했던 스마트폰 시장의 반등 주역은 신흥 국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판매는 2017년에 5대 중 1대꼴이었다면, 2024년에는 3대 중 1대로 늘어날 전망이다. 특히 중국을 제치고 인구 1위에 오른 인도를 비롯해 동남아시아와 남아시아 지역은 수요 회복에 힘입어 전년 대비 6% 증가하는 등 빠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관측된다.

산얌 차우라시아 카날리스 수석애널리스트는 “2024년 스마트폰의 반등은 연결성과 생산성 측면에서 스마트폰이 필수적인 신흥시장이 주도할 것”이라며 “이들 국가의 경제 상황과 소비자 신뢰도가 안정화하면서 스마트폰 교체가 가속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세계적인 AI 열풍 속에 AI폰이 보급되면 PC에 국한됐던 AI 기술이 모바일로 확대돼 일상생활에 더욱 깊숙이 파고들 전망이다. AI폰은 배터리와 스케줄 관리는 물론, 사진과 영상 편집 등 측면에서 효율성 향상을 꾀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격적인 AI폰 시대는 2024년 출시를 앞둔 삼성전자의 갤럭시 S24와 애플의 아이폰 16, 구글 픽셀 9 등이 열 전망이다. 카날리스는 AI폰을 기술집약 반도체인 시스템온칩(SoC)에 AI 성능을 확대하는 퀄컴 헥사곤과 미디어텍 APU, 구글 TPU 등이 들어 있고 구글 제미나이와 삼성 가우스 같은 거대언어모델(LLM)을 가동할 수 있는 제품으로 규정했다.

새해 스마트폰 중 AI 기능이 탑재된 제품은 약 5% 규모인 6000만대가 될 것으로 카날리스는 예측했다. 프리미엄 스마트폰 판매는 현금이 풍부했던 코로나19 사태 기간 이미 신제품으로 갈아탔기 때문에 서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 시장의 교체 수요가 약세에 머물면서 정체될 것으로 봤다. 루나 비요르호브데 카날리스 애널리스트는 “해당 지역에서 프리미엄 제품의 실제 성장 주기는 AI 기능과 사용 사례가 교체를 유도할 만큼 충분히 강해지는 2024~2025년까지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2024년 AI폰 출하량을 카날리스보다 많은 1억대 이상으로 전망했다. 2027년에는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의 40% 수준인 5억2200만대까지 성장할 것으로 봤다.



AI폰 갤럭시S24 공개

- [특징주]인터플렉스, 갤럭시링 수혜 기대에 16%↑ - 감탄 쏟아진 갤럭시S24 공개현장…'갤럭시 링' 시선강탈 - 퀄컴, 갤럭시 S24 울트라에 가장 진보된 ‘스냅드래곤’ 탑재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