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해외경제포커스 ‘인구구조 변화가 중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중국의 고령인구(65세 이상) 비중이 1%포인트 증가할 때,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약 0.1~0.5%포인트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국제연합(UN)은 중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비중이 2035년(20.7%)에 20%를 넘어서면서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이며, 고령화 속도가 과거에 비해 점차 빨라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UN이 추정한 중국의 미래인구 변화를 모형에 적용해 예측해본 결과, 단순히 인구구조 변화만으로도 GDP 성장률은 2021년 대비 2025년 0.1~0.5%포인트, 2030년 0.3~1.2%포인트, 2035년 0.6~3.0%포인트까지 하락할 것으로 나타났다.
|
한채수 중국경제팀 과장은 “중국의 고령화는 미국·영국 등 서구권 국가에 비해 매우 빠르게 진행중이며 한국·일본 등의 동아시아 국가들과 비슷한 수준”이라면서 “이에 따른 경제성장률 하락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지난 1973년 중국 정부에서 산아제한 권고를 시작으로 1가구 1자녀 정책이 법제화된 1982년 이후 인구증가를 적절한 수준에서 통제했지만,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인구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 중국의 인구증가율은 1998년 1% 이하로 떨어진 이후, 2021년 현재 0%대로 하락했다. 향후 2~3년 이내 총인구의 감소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중국의 생산연령인구(15∼64세) 역시 2013년 10억1000만명을 정점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비중도 2010년 74.5%를 정점으로 하락하는 중이다. 2021년 기준 생산연령인구는 9억7000만명(68.3%) 수준으로 집계됐다.
이 때문에 ‘세계의 공장’이라 불리던 글로벌 고용시장에 투입 가능한 노동 공급이 줄어들면서 ‘저성장·고물가’ 시대로 접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과 달리 중국의 고령화 특징은 ’부유해지기 전에 늙는(未富先老)‘ 현상이 나타나면서 사회·경제적 충격이 더 클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는 급속한 고령화, 생산연령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로봇 등을 활용한 생산성 제고, 여성 및 외국인 노동력 활용 등의 정책을 펴고 있지만 고령사회 진입 이후 생산성 하락에 따른 경기 충격은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한 과장은 “중국의 인구구조 변화가 향후 신성장산업에서의 경쟁 격화, 글로벌 인플레이션 추가 압력 등 산업구조 및 글로벌 경제의 변화를 유발하는 핵심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