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서울시, 올해 노후경유차 저공해사업 마무리

양지윤 기자I 2021.02.21 11:50:50

잔여 2만2800여대 지원
노후경유차 조기폐차보조금 지원금 600만원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서울시가 지난 2003년부터 추진해온 ‘노후경유차 저공해사업’을 올해로 마무리한다.

(이미지=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지난 2003년부터 지난해까지 18년간 5등급 노후경유차 49만대를 지원한데 이어 올해 남아있는 전량 2만2860대의 저공해 조치를 위해 총 949억원을 투입한다고 21일 밝혔다.

노후경유차 저공해사업은 배출가스 5등급 경유 차량을 조기 폐차하거나 매연저감장치(DPF) 부착 등의 조치를 취한 차량에 보조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조기폐차 지원금은 상한액은 당초 300만원에서 600만원으로 확대한다. 총 중량 3.5t 미만인 배출가스 5등급 노후 경유차량 중 매연저감장치를 장착할 수 없는 차량이나 생계형, 영업용, 소상공인 등이 소유한 차량이 대상이다.

차량이 조기폐차하는 경우 차량기준가액의 70%(최대 420만원)를 기본보조금으로 지급하고, 경유차를 제외한 신차를 구매하면 나머지 30%를 추가로 지원한다. 노후경유차 소유자 대부분이 중고차 구매를 선호한다는 점을 고려해 폐차 후 배출가스 1·2등급 중고차를 사도 신차 구매와 동일한 보조금을 지급한다.

매연저감장치는 올해 원가 재산정으로 장치 가격이 약 30% 절감돼 자기부담금이 낮아진다. 비용의 약 90%는 보조금이 지원되고 10% 자기부담금 비율은 동일하지만, 장치의 원가 자체가 저렴해지기 때문에 자기부담금이 낮아진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또 자동차배출가스 종합전산시스템도 가동한다. 자기부담금 납부 모바일 결제도 도입해 저감장치 부착 신청부터 완료, 비용 납부까지 온라인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기존에는 차주가 신청서를 작성해 서울시에 유선·방문·우편 접수해야 했다.

조기폐차 신청은 한국자동차환경협회, 매연저감장치(DPF) 부착 신청은 환경부 ‘배출가스 등급제 누리집’에서 하면 된다.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 차량공해저감과로 문의하면 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