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IPO 최대어' ARM, 9월 美나스닥 상장…“애플, 삼성 등 투자”

방성훈 기자I 2023.08.09 08:54:10

소프트뱅크, 이달중 美SEC에 ARM 나스닥 상장 신청
닛케이 "애플·삼성·인텔·엔비디아 등 ARM 출자 예정"
9월말 상장 계획…상장후 시가총액 79조원 전망
올해 세계 최대 IPO…자금조달 시장 활력 기대↑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일본 소프트뱅크 그룹 산하 반도체 설계기업인 영국 ARM이 다음달 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할 계획이다. 올해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기업공개(IPO)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애플과 삼성전자 등 주요 반도체 기업들이 투자자로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 AFP)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은 8일 “ARM은 9월 말 기업공개(IPO)를 통해 나스닥에 상장할 계획”이라며 “소프트뱅크는 이달 말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상장을 공식 신청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소프트뱅크는 2020년 ARM을 엔비디아에 매각하려 했으나 규제당국의 반대로 무산되자 상장을 추진해 왔으며, 지난 4월 SEC에 ARM의 상장 준비 신청서를 제출했다.

닛케이는 또 “미국의 애플, 엔비디아, 인텔, 한국의 삼성전자 등 세계 주요 반도체 관련 기업들이 ARM에 출자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ARM은 출자 기업들에 일정 지분을 배정해 중장기 주주로 영입한 뒤, 이를 기반으로 상장 이후 주가 안정을 꾀한다는 방침이다.

ARM은 소프트뱅크가 75%, 소프트뱅크 산하 비전펀드가 2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소프트뱅크는 이번 IPO를 통해 비전펀드가 보유한 지분 가운데 10~15%를 매각할 예정이며, 현재 공모가 책정 등을 위해 투자자 수요를 살펴보고 있다.

ARM은 나스닥 상장 이후 시가총액이 600억달러(약 78조 7560억원)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소프트뱅크가 2016년 ARM을 인수한 가격(240억파운드·약 40조 1450억원)의 거의 두 배 규모다.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의 출자로 ARM의 IPO가 흥행을 거둘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 앞서 파이낸셜타임스(FT) 등은 소프트뱅크의 손정의 회장이 직접 나서 엔비디아를 ‘앵커 투자자’(핵심 투자자)로 영입하기 위해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앵커 투자자는 기업공개(IPO)를 앞둔 기업 지분에 대규모로 투자해 말 그대로 ‘닻’을 내리는 역할을 담당하는 투자자를 뜻한다. 앵커 투자자는 다른 투자자의 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거나 잠재적 투자자를 안심시키는 등 공모 흥행 및 성공을 좌우한다.

외신들은 소프트뱅크가 주요 반도체 기업들을 투자자로 내세운 건 IPO 과정에서 인공지능(AI)을 흥행 요소로 내세우기 위한 전략이라고 진단했다. ARM은 영국에 본사를 둔 반도체 설계 기업으로, 스마트폰 성능을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설계 관련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ARM의 IPO가 흥행에 성공하면 침체된 자금조달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이라고 외신들은 전망했다.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 IPO 및 인수·합병(M&A) 시장은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전 세계적인 저금리 기조로 활황을 맞이했다. IPO를 통한 자금조달액은 2021년 4162억달러로 전년대비 80% 급증했다. 닷컴 버블 시기인 2000년 이후 최대 규모다.

하지만 지난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주요 중앙은행들이 기준금리를 가파르게 인상하기 시작하며 IPO 시장도 급속도로 냉각됐다. 지난해 IPO를 통한 자금조달액은 전년대비 3분의 1로 쪼그라들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