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메르스 최대 진앙지 삼성서울병원 '부실대응' 비판

김기덕 기자I 2015.06.14 13:05:23

145명 환자 중 72명 삼성서울병원 발생
응급 이송요원 확진 나오자 부분 패쇄
보건당국 '봐주기식' 조치 지적도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현재까지 발생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 145명 중 72명이 삼성서울병원에서 나오게 됐다.

최초 환자인 35번 확진자(서울삼성병원 의사)에 이어 응급차 이송·안전요원, 응급실 밖 감염환자 등이 줄줄이 환자로 판명되면서 9일 만에 결국 병원 부분 패쇄라는 특단의 조치가 내려졌다.

하지만 삼성서울병원 사태가 커질때 까지 보건당국이 확진자 밀접접촉 환자에 대한 제대로 된 격리조치가 나오지 않았고, 병동 자체를 격리하는 코호트 관리(병원내 격리)가 이뤄지지 않아 ‘봐주시식 조치’가 큰 화를 불렀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삼성서울병원은 14일 메르스 총력대응과 환자 확산을 막기 위해 오는 24일까지 병원 부분 폐쇄조치하는 대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 병원의 외래 및 입원, 응급실 진료가 이날부터 전면 제한된다. 수술 역시 응급 상황을 제외하고 모두 중단할 방침이다.

지난 11일 국회 메르스 대책특별위원회에 참석한 원내 의사가 “이번 메르스는 삼성이 아니라 국가가 뚫린 것이다”고 말한지 불과 3일만에 입장을 바꾼 것이다.

특히, 지난 11~14일 삼성서울병원에서 메르스에 감염된 응급 이송요원(137번 확진자)이 병원 통제 없이 다수의 환자와 접촉한 것이 확인됐다. 또 응급실 밖에서 감염돼 전파 경로가 불투명한 환자도 2명이나 나왔다. 보건당국과 병원의 부실 대응 지적이 나오고 있는 이유다.

송재훈 삼성서울병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병원 폐쇄가 늦은 것은 기존 체제를 유지하면서 방역이 가능하다고 판단했지만 137번 환자 발생으로 기존 방법으로 대처가 어렵다고 보고 특단의 대책을 취하개 됐다”며 “국민 여러분께 큰 심려를 끼쳐드려 사죄드린다”고 말했다.

송 원장은 또 “12일 새벽4시 이송요원의 메르스 검사 1차 양성 판정 이후 밀접노출자 37명의 1인실 격리를 그날 밤 완료했으며 밀접노출자와 같은 병실을 썼던 환자인 간접노출자 127명에 대해서도 1인실 격리를 진행 중이다”고 덧붙였다.

`메르스 사태` 종식 선언

- 두바이 다녀온 男, 메르스 의심 국립의료원에 격리 - 黃총리 “메르스 안심해도 좋다”..사실상 종식선언 - 황 총리 메르스 사실상 종식 선언, "안심해도 좋다 판단”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