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2형 치료제 티르제파티드 우위·1형 37% 30세 이후 진단[클릭, 글로벌·제약 바이오]

유진희 기자I 2023.10.01 23:55:00
[이데일리 유진희 기자]한 주(9월25일~10월1일)의 글로벌 제약·바이오업계 이슈를 모았다. 이번 주에는 당뇨병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사진=게티이미지)


2형 당뇨병 치료제의 주류인 티르제파티드와 세마글루티드 효능 차이를 분석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는 티르제파티드가 같은 계열의 치료제인 세마글루티드보다 혈당과 체중 관리에 유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보도했다.

그리스 테살로니키 아리스토텔레스 대학 의대 내과 전문의 토마스 카라기아니스 교수 연구팀이 티르제파티드, 세마글루티드와 관련된 22건의 임상시험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다. 전체 임상시험에는 총 1만 8472명의 2형 당뇨병 환자가 참가했다. 이들에게는 티르제파티드 유지 용량 5mg, 10mg, 15mg 또는 세마글루티드 유지 용량 0.5mg, 1.0mg, 2.0m이 매주 피하주사로 최소한 12주 동안 투여됐다. 대조군에는 위약이 투여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티르제파티드 10mg 그룹이 장기 혈당인 당화혈색소가 가장 많이 떨어졌다. 대조군에 비해 2% 낮았다. 세마글루티드는 2.0mg 그룹이 당화혈색소가 가장 많이 낮아졌다. 대조군 대비 하락 폭은 1.62%였다.

티르제파티드는 체중 감소 효과도 세마글루티드보다 컸다. 티르제파티드 15mg, 10mg, 5mg 그룹은 대조군보다 체중이 각각 10.96kg, 8.75kg, 6.16kg 더 감소했다. 세마글루티드 2.0mg, 1.0mg, 0.5mg 그룹은 대조군보다 각각 5.24kg, 4.44kg, 2.72kg 더 줄었다.

부작용은 위장장애로 두 약 모두 모든 용량 그룹에서 나타났다. 티르제파티드 15mg 그룹은 부작용 발생률이 오심 3.6배, 구토 4.4배, 설사 2배로 가장 높았다. 연구 결과는 함부르크에서 열린 유럽 당뇨병 연구학회(EAS) 연례 학술회의에서 공개됐다.

1형 당뇨병의 37%는 30세 이후에 진단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형 당뇨병은 인슐린 생산이 부족하거나 세포가 인슐린을 활용하는 기능이 떨어져 발생한다. 1형 당뇨병은 면역체계가 인슐린을 만드는 췌장의 베타 세포를 공격, 인슐린이 아주 적게 혹은 거의 생산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이다.

헬스데이 뉴스는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 보건대학원 마이클 팡 심혈관 역학 교수 연구팀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전국 건강 설문조사(NHIS) 중 130만 명의 자료(2016~2022년)를 이용, 1형 당뇨병의 진단 연령 분포를 분석한 결과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중 947명은 1형 당뇨병 환자였다. 전체적으로 1형 당뇨병의 진단 연령은 평균 24세였다. 성별로는 남성이 27세, 여성이 22세였다. 소수민족은 26~30세, 비히스패닉 백인은 40세였다. 전체적으로 30세 이후 진단율은 37%로 남성, 소수민족이 더 높았다.

1형 당뇨병은 소아, 청소년에 많이 발생해 소아 당뇨병이라고 불리기도 했으나 일반적으로 성인기에 발병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내과 학회 학술지 ‘내과학 회보’ 최신호에 실렸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