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붉은 수돗물’ 인천상수도, 경영실적 최하 판정…"사전 대비 및 초동 미흡"

최정훈 기자I 2019.07.07 12:00:00

행안부, 2018년도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결과 발표
인천교통공사·서울시농수산식품 공사 등 최상 등급
인천상수도 최하…붉은 수돗물 사태 대처 미흡

자료=행정안전부 제공
[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인천 상수도가 붉은 수돗물 사태의 사전 대비와 초동 대응이 미흡하다는 이유로 경영실적 최하 등급을 받았다.

7일 행정안전부는 전국 270개 지방공기업을 대상으로 2018년도 실적에 대한 경영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는 안전·윤리·친환경 경영,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확대 등 사회적 책임경영 분야를 비중 있게 평가했다. 이번 경영평가 결과 최상위 등급인 ‘가’는 총 41개(15.2%) 공기업이 받았고 △‘나’ 66개(24.4%) △‘다’ 137개(50.7%) △‘라’ 19개(7.1%) △‘마’ 7개(2.6%)로 나타났다.

주요 내용으로는 먼저 공익성과 수익성의 조화를 보여준 지방공기업이 ‘가’ 등급을 받았다. 인천교통공사와 광주도시관리공사는 주차장 차량 침수 예방을 위한 문자발송 및 출입통제 자동화시스템 구축했고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는 도매시장 최초로 중도매인 직접거래품목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기도 했다.

이어 부산환경공단은 소각시설의 폐열을 무상공급하고 오산시시설관리공단은 라돈측정기를 무료로 대여했고 강동구시설관리공단은 공동육아 프로젝트를 운영해 지역 사회와 주민에게 공헌한 점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또 좋은 평가를 받은 공기업들은 청년의무고용실적이 평균 7.33%로 의무고용목표인 3%보다 초과 달성하기도 하고 사회적 기업 및 협동조합 생산품 구매실적(3.07%)과 중소기업 제품 구매실적(86.23%)도 기준을 넘어섰다.

한편 이번 평가에서는 안전사고에 대해 엄격하게 평가 기준을 적용했다. 지난해 10월 한 개발공사는 생수병을 만드는 공장 설비의 작업자가 점검 중에 기계가 오작동해 사망한 사건이 발생해 평가 등급이 ‘나’ 등급에서 ‘다’ 등급으로 하향 조정됐다.

특히 인천광역상수도는 인천시 붉은 수돗물 사태에 대해 사전대비 및 초동대응 등 후속조치 미흡으로 지역주민의 식수 불안 및 국민에게 큰 불편을 초래했다는 평가를 받아 최하 등급인 ‘마’ 등급을 받았다.

아울러 이번 평가 결과에 따라 지방공사·공단 임직원의 평가급이 차등 지급된다. 최하위 등급을 받은 기관의 임직원은 경영평가 평가급을 지급받지 못하고, 사장과 임원은 연봉이 5~10% 삭감한다. 또 평가 결과는 지방공기업 경영정보공개시스템에 모두 공개된다.

윤종인 행안부 차관은 “지방공기업은 상수도, 지하철 운행, 관광시설 관리 등 주민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생활에 필수적인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경영평가 시 경영성과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에도 평가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지방공기업의 영업이익 향상, 일자리 창출 등 지방공기업의 사회적 가치의 성과와 노력을 경영평가에 계속 반영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