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시민 1500명 현충일 맞아 6.6㎞ 걷기대최 개최

함지현 기자I 2024.06.06 11:15:00

오세훈 시장, 가수 션 등 1500명 참여
참가비 전액 기부…국가유공자 주거 개선 사업 활용
‘빅워크’ 통해 온라인 기부…목표했던 7억 2700만보 초과

[이데일리 함지현 기자] 서울시는 제69회 현충일을 맞아 국가유공자들의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한 ‘6·6 걷기대회’를 개최했다고 6일 밝혔다.

서울시청 전경. (사진=이데일리DB)
이날 오세훈 시장과 가수 션을 비롯해 약 1500여명의 시민은 백범광장에서 시작해 석호정까지 남산 북측순환로를 왕복, 현충일 날짜와 동일한 총 6.6㎞를 함께 걸었다. 이번 행사 참가비는 1인당 3만원이다. 참가비 전액인 약 6600만원을 한국해비타트에 기부해 주거 취약 국가유공자 지원사업 기금으로 사용한다.

기부 행사는 온라인에서도 함께 진행했다. 걷기로 기부를 실천하는 앱인 ‘빅워크’에서는 5월 14일부터 정전기념일인 7월 27일을 상징하는 7억 2700만 보를 목표로 기부를 받기 시작했다. 그 결과 5일 기준 약 1만 6000명이 참여해 목표 달성치의 157%인 약 11억 걸음 기부를 달성했다.

걸음 수 목표 달성으로 한국씨티은행은 ‘2024 주거취약 국가유공자 지원을 위해 2억 5000만원을 기부하고, 임직원들이 6·6걷기 참여 및 주거개선 봉사활동을 진행한다.

서울시는 오세훈 시장 취임 후 국가유공자 예우 강화를 위해 꾸준히 보훈 지원대상과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2022년에는 생존애국지사에 지급하는 ‘보훈명예수당’을 월 20만원에서 월 100만원으로 인상했다. 2023년에는 국가유공자 본인 또는 선순위 유족 중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에게 지급하는 ‘생활보조수당’을 월 10만원에서 월 20만원으로 상향했다. 마지막으로 올해 참전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참전명예수당’을 월 10만원에서 월 15만원으로 높였다.

대상도 확대했다. 2022년 지급이 제외되었던 상이자 및 고엽제 후유의증자까지 참전명예수당과 보훈예우수당을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2023년, 생활이 어려운 독립유공자 (손)자녀 중 중위소득 70% 이하에게 지급하는 독립유공 생활지원수당을 기초연금 수급자에게까지 확대했다. 올해는 4·19유공자, 5·18유공자, 특수임무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월 10만원의 보훈예우수당을 전상군경, 공상군경, 공상공무원까지 범위를 넓혔다.

이외에도 2022년 3월에는 ‘서울시 청년부상제대군인 상담센터’를 개소하고 나라를 위해 헌신하다 부상당한 청년들의 건강한 삶과 공정한 사회진출도 지원하고 있다.

올해는 국가보훈부와 국방부에 국가유공자 선정 방식 제도 개선 건의를 비롯해, 청년부상제대군인이 공공일자리에 지원할 경우 가산점을 부여하는 방안 등을 추진 중이다. 또 대한변호사협회 법률구조재단과 협약을 체결하여 청년부상제대군인들의 유공자 신청을 적극적으로 돕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오늘 여러분들의 한 걸음, 한 걸음은 주거환경이 취약한 국가유공자들의 집을 수리하고, 도움을 드리는 고귀한 발걸음이었다”며 “우리가 평화로운 삶을 누릴 수 있게 해주신 분들이 국가유공자 분들이라는 것을 잊지 않고 보훈이 없으면 국방도 없다는 기조로 보훈정책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