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마포에 없는 마포고, 강서에 없는 강서고[땅의 이름은]

전재욱 기자I 2024.02.03 16:30:00

지명따라 교명지었지만 이전과 구역 개편으로 엇갈린 운명
위치는 바뀌어도 오래된 이름 바꾸기 쉽지 않아 유지

[이데일리 전재욱 기자] 서울 마포고등학교는 마포구가 아니라 강서구에 있다. 1950년 마포구 개화동에서 개교하고서 1985년 강서구 등촌동으로 이전하면서 교명과 행정구역이 엇갈렸다. 당시 서울 도심 개발이 이뤄지며 학교 부지가 재개발 지역에 포함돼 하릴없이 학교를 옮겼다. 서초구 방배동 부지와 저울질하다가 지금 자리를 선택했다. 마포고 부지는 2004년 주상복합 한화오밸리스크가 들어섰다.

서울 숭례문 주변 개발이 이뤄지던 당시 모습.(사진=서울기록원)
마포고를 가진 강서구는 강서고는 갖지 못했다. 현재 강서고의 위치는 양천구 목동이다. 1982년 강서고가 준공할 당시 그 자리의 행정구역은 강서구 목동이었다. 1988년 강서구가 양천구에서 분구하면서 신월동, 신정동, 목동을 데리고 나갔다. 이렇게 강서고는 같은 자리에 있으면서 강서구에서 양천구로 옮겨갔다.

영등포중·고교(동작구 대방동)와 영등포공고(강서구 가양동)도 이런 식으로 주소가 바뀐 학교다. 개교 기준으로 영등포중(1906년), 영등포공고(1953년), 영등포고교(1958년)이 생긴 당시는 행정구역이 모두 영등포구였다. 서울에서 가장 방대한 관할을 가진 영등포구는 수차례 분구를 거듭했다.

이 과정에서 1973년 영등포구가 관악구로 분구하면서 대방동을 떼어주어서 영등포중고교는 관악구가 됐다. 동작구가 1980년 강서구에서 떨어져나오면서 대방동을 가져가며 지금의 행정구역을 얻었다. 강서구는 1977년 영등포구에서 독립하면서 가양동을 갖고 나와 영등포공고 소재지가 됐다.

동작구에 있는 강남초(상도동·1941년 개교)와 강남중(대방동·1959년 개교)은 강남구에 없다. 1975년 영등포구와 성동구에서 분구한 강남구가 등장한 것은 한참이나 뒤이다. 학교명은 행정구역이 아니라 한강 남쪽(江南)에 있다는 일반 지명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인다.

먼저 생긴 지명이 바뀌어도 교명을 바꾸기는 쉽지 않다. 남대문중학교는 숭례문에서 멀리 떨어진 성북구 장위동에 있다. 원래는 숭례문이 가까운 데 있었는데 1963년 지금 자리로 옮겼다. 교명을 바꾸는 방안을 논의했으나 국보 1호를 상징하는 점에서 유지하자는 의견을 반영해 둔 것으로 전해진다. 명동(중구 예장동)에서 경기 안산으로 이사(본부 이전·2001년)간 서울예술대학교와 서대문구 충정로에서 경기 부천시로 이전(1972년)한 서울신학대학교, 강남구에서 경기 용인시로 옮긴(1980년) 강남대도 마찬가지다.

다만 서울삼육중고교(경기 구리시)와 남서울대(충남 천안), 동서울대(경기 성남시)는 처음부터 서울에 없던 학교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