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인류최대우주망원경 '첫사진' 공개..가장 깊숙한 우주 담았다

강민구 기자I 2022.07.12 08:34:06

NASA, 12일 밤 사진세트 공개 앞서 사진 1장 먼저 공개
은하, 별들이 반짝..우주 기원, 생명체 존재 이해 기대
오늘 밤 11시반 사진 전체 공개..한국에서는 유튜브 행사도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인류최대우주망원경이 우주의 가장 깊은 곳을 바라본 선명한 사진이 공개됐다. 지금껏 인류가 볼 수 없었던 신비한 우주의 모습을 담아 앞으로 우주의 기원과 외계 행성의 생명체 존재 여부 등을 이해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차세대 우주망원경인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의 첫 우주 사진을 12일 공개했다. 망원경은 46억년전에 나타난 SMACS 0723 은하단 이미지를 포착했다. 은하단 뒤에 있는 천체의 빛을 확대해 휘게 하는 현상을 일으키는 ‘중력 렌즈’ 현상으로 관심을 끄는 천체다. 이전까지 볼 수 없었던 성단 등도 확인할 수 있다.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의 첫 사진.(사진=미국항공우주국)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가시광선 영역을 관측했던 허블 우주망원경과 달리 적외선 영역을 관측해 별과 외계행성의 탄생이나 외계생명체 존재 가능성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할 자료를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인류 역사상 가장 크고 강력한 관측 장비이다.

망원경은 작년 12월 우주로 발사돼 지구에서 약 160만㎞ 떨어진 ‘제2 라그랑주 점’에 안착했다. 이달 초 망원경에 달린 정밀 유도 센서(FGS)로 시험용 사진도 공개했지만 풀컬러 우주 사진을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 공개 행사에서 “오늘은 역사적인 날”이라며 “전체 이미지를 공개하면 과학기술과 인류 전체를 위한 우주탐사에서 역사적인 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NASA는 은하부터 외계행성까지 웹 망원경이 한 달가량 처리 과정을 거친 우주 전체 5곳을 찍은 사진세트를 한국시간으로 12일 밤 11시 30분께 공개할 예정이다. 한국 공식행사로 국제천문연맹과 유튜브채널 안될과학이 함께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공개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NASA STScI(우주망원경연구소)에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운영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손상모 박사가 온라인으로 참여해 의미를 설명할 예정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