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먹는 코로나 치료제 라게브리오 10만명분 이번 주 도입(종합)

문승관 기자I 2022.03.21 09:01:05

오미크론 정점 지나는 중…확진자 62만명서 나흘째 감소
“중증병상 회전율 현행 5일서 3일로 줄여 회전율 높일 것”
공무원·군 4000명 내달 말까지 투입 유지…오미크론 관리
화장장 포화 상태…안치실 등 확보 위해 ‘국비 지원’ 병행

[이데일리 문승관 기자] 정부가 이번 주부터 먹는 코로나19 치료제인 머크 사의 라게브리오 10만명 분을 도입하기로 했다. 확진자 수가 급증하면서 먹는 치료제 처방 수요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었기 때문이다.

전해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2차장(행정안전부 장관)은 21일 “최근 확진자 수 증가에 따라 먹는 치료제 처방 수요도 크게 확대되고 있어 이를 고려해 내달 중 도입 예정인 9만5000명분의 치료제 팍스로비드 외에 추가 조기확보를 추진하고 있다”며 “머크 사의 먹는 치료제 라게브리오 10만명분을 이번 주부터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전 2차장은 “현재 오미크론 정점구간을 힘겹게 지나고 있다”며 “의료기관에서 시행한 신속항원검사(RAT) 결과를 확진자 인정에 활용하기 시작한 지난 14일부터 최고점에 달한 지난 17일 62만1000명의 확진자 수는 나흘째 감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 차장은 “전체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69%이고 주간 치명률은 5주 연속 0.1%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신규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누적 치명률 규모는 0.15%로, 앞서 정점기를 거친 미국 1.22% 영국 0.83% 프랑스 0.60% 등과 비교할 때 약 4분의 1 이하 수준이다”고 언급했다.

정부는 고위험군 중심의 현행 의료 대응체계가 더욱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현장의 병상 관리 노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했다. 이날부터 중증병상 환자를 대상으로 재원이 적정한지를 평가하는 절차와 그 소요기간을 현행 5일에서 3일로 줄여 중증병상 회전율을 높일 계획이다. 준·중증 병상은 실질적 고위험 환자인 호흡기 질환자를 중심으로 배정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전 2차장은 “지방자치단체, 지역소방본부, 응급의료기관이 참여하는 ‘지역별 응급협의체’를 통해 ‘재택치료자 응급이송 원칙’을 수립하고 기관 간 핫라인을 활용해 환자 수용 여력 확인 등 정보공유 수준을 높여 나가겠다”며 “중앙부처 공무원과 군 인력 4000명을 지자체 코로나 대응 현장에 투입하고 있는 데 이를 내달 말까지 한 달 더 연장해 오미크론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환절기에 코로나19 사망자 수 증가로 전국 화장장이 포화상태에 이르자 정부는 지자체와 함께 대도시를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는 지역별 화장장 쏠림현상을 완화할 수 있도록 인접지역 화장시설에 분산수용을 위한 ‘권역별 공동대응체계’를 조속히 마련하고 필요 시 장례식장과 화장장 내의 안치 시설이 긴급 추가 설치될 수 있도록 국비 지원도 병행하기로 했다.

전 2차장은 “이날부터 시작하는 12세에서 17세 청소년에 대한 3차 접종에도 고위험군 청소년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보호자들의 각별한 관심을 부탁한다”며 “사적 모임 인원수를 소폭 조정한 새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도 이날부터 시행한다”고 했다.

전해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2차장(행정안전부 장관)이 21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대응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영상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757일만에 되찾은 일상

- 다 끝난줄 알았던 코로나…재유행 언제 오나요?[궁즉답] - 확진 7227명…지원금,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만(종합) - 코로나19 재정지원 축소…격리자 생활지원비·유급 휴가비 줄여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