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發 불안감 여전…화이트 리스트 제외에 이목”

박태진 기자I 2019.07.19 08:17:25

NH證 “경제보복 상시화 우려”
자동차·2차전지·통신장비 종목 기대

일본이 오는 24일 우라나라에 대한 화이트 리스트 제외 시행령 개정을 위한 의견 수렴을 마감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일본의 대(對)한국 수출규제 강화에서 비롯된 경제보복이 지속될 우려가 한층 높아지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일본의 대(對)한국 수출규제 강화에서 비롯된 경제보복이 지속될 우려가 한층 높아지고 있다. 일본이 오는 24일 우리나라에 대한 화이트 리스트(수출 절차 간소화 우대 대상) 제외 시행령 개정을 위한 의견 수렴을 마감하기 때문이다. 화이트 리스트 제외로 의견이 모아진다면 실제 시행은 통상 3주 뒤인 8월 중순으로 예상된다. 이에 앞서 23~23일 세계무역기구(WTO)의 일반 이사회에서 일본 수출 규제에 대한 논의가 있을 예정이지만 일본발(發) 불안감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란 판단이다.

김병연 NH투자증권(005940) 연구원은 11일 “일본은 기존 반도체 핵심 소재 3개 품목 수출 심사 강화 외에 반도체 부품, 수소차, 기계 업종 관련 소재를 수출심사 강화 품목에 추가하거나 한국을 화이트 리스트에서 제외해 포괄 허가 대상인 약 857개 품목에 대해 각각 허가를 취득하게 변경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일본이 수출심사 강화 품목을 추가하거나, 우리나라를 화이트 리스트에서 제외 시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경제 보복의 상시화 가능성”이라며 “또 화이트 리스트의 본래 목적이 자국 기업의 수출 납기 단축 지원이라는 점에서 주요 핵심 소재의 통관 지연, 물량 축소 등으로 국내 제조업의 일시적 생산 차질, 수출품의 납기 지연, 단가 상승 등이 우려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글로벌 밸류체인상 원천적 단가 상승의 원인 제공과 이에 따른 일본 수출 기업의 이익 감소 등을 감안할 때 핵심 소재 관련 대한국 경제 보복의 상시화로 주요업종의 피해가 현실화되기 보다는 수출 통관 지연 등이 상시화될 가능성이 더 높다는 판단이다.

국내 주식시장은 7월 수출 집계, 미국의 같은 달 제조업 구매자관리지수(PMI) 등도 부진이 예상돼 좁은 박스권 내 등락 지속과 종목별 장세 지속이 예상된다. 이에 실적이 양호하거나 정부 정책이 뒷받침되는 종목 위주의 투자전략이 유효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김 연구원은 “상대적으로 실적이 양호한 자동차, 2차전지, 통신장비, 통신서비스, 인터넷 등에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며 “반도체 부품의 정부 투자에 따른 중장기 성장성 강화 기대감도 지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 韓·日 경제전쟁

- 한일갈등 속…文 “자유무역 강화”VS아베 “인적교류 추진”(종합) - 日 여행 커뮤니티 ‘네일동’ 운영 재개 “본연의 자리로…” - 文대통령,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 참석..상생의 힘 강조(종합)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