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럭셔리 전기차란 이런 것"…캐딜락 리릭의 등장[타봤어요]

이다원 기자I 2024.06.13 08:00:00

파격적 외장 디자인…고급진 실내
GM '얼티엄' 적용…대용량 배터리 탑재
조용히 빠르다…손으로 회생제동 조절
럭셔리 EV답게 1억 넘는 가격은 부담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제너럴모터스(GM) 산하 브랜드 캐딜락이 내놓은 첫 번째 순수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리릭이 한국에 상륙했다. 첨단을 달리는 디자인부터 고급진 실내, 안정적이고 민첩한 주행 성능까지, 럭셔리 전기차의 새로운 강자가 등장했다.

캐딜락 브랜드 최초의 순수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리릭(LYRIQ)’.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캐딜락은 지난 12일 국내 언론을 대상으로 시승회를 진행했다. 리릭을 타고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부터 경기 포천시까지 약 100㎞ 구간을 왕복 주행했다.

첫인상은 파격적이다. 캐딜락 로고를 본뜬 방패 모양의 ‘블랙 크리스탈 쉴드’가 그릴을 대신하고, 점점이 박힌 수직형 헤드램프가 옆에 위치해 무게감 있는 전면부를 완성한다. 옆에서 보면 차 후면으로 갈수록 흐르듯이 유려한 실루엣이 눈에 들어온다. 길고 매끈한 느낌과 투박한 느낌이 공존하는 듯했다.

리릭은 전장 4995㎜, 전폭 1980㎜의 준대형 SUV다. 하지만 전고는 1640㎜로 다른 준대형 전기 SUV보다 낮은 편이라, 운전석에 앉으니 안정감이 느껴졌다. 실내는 원목과 알루미늄, 나파 가죽 등으로 꾸며져 럭셔리한 느낌을 더했다.

캐딜락 브랜드 최초의 순수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리릭(LYRIQ)’ 실내 디스플레이.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1열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33인치에 달하는 널찍한 디스플레이다. 계기판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한 것으로 간결하게 필요한 기능만 갖춘 것이 눈에 띄었다. 휴대폰과 차를 연결하고 차량 및 충전 상태를 확인하거나 편의 기능을 켜고 끌 수 있도록 했다. 그러
리릭 디스플레이에 안드로이드 오토 화면이 띄워져 있다. 전체 디스플레이 대비 화면이 작아 아쉽다.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면서도 디스플레이 아래 있는 공조 장치는 물리 버튼으로 조작하도록 해 편의를 강화했다.

국내 출시한 리릭은 자체 내비게이션을 탑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내비게이션을 사용하려면 무조건 안드로이드 오토 또는 애플 카플레이를 통해 스마트폰과 연결해야 한다. 내비게이션 정보, 재생 중인 음악 등이 운전대 너머 계기판에 바로 연동되는 것은 편리하지만, 정작 넓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비해 내비게이션 화면은 상대적으로 작아 다소 답답한 느낌이 들었다.

캐딜락 브랜드 최초의 순수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리릭(LYRIQ)’ 측면.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리릭의 진가는 주행 시 드러난다. 리릭은 GM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얼티엄(ULTIUM)’을 적용한 첫 번째 전기차로, 102kWh 대용량 배터리 팩을 탑재해 1회 충전 시 주행가능거리가 465킬로미터(㎞)에 달한다. 차체 앞·뒤에 달린 두 개의 모터가 최대 출력 500마력, 최대 토크 62.2kg·m의 주행 성능을 이끌어낸다.

통행량이 적은 고속도로에서 가속 페달을 밟자 순식간에 시속 120㎞까지 치솟으며 ‘밟는 대로 나가는’ 전기차다운 주행 성능을 뽐냈다. 빠르게 달리고 있는데도 계기판에 뜨는 숫자가 의심스러울 정도로 차량의 흔들림이 없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외부 소음도 거의 들리지 않았는데, 차세대 액티브 노이즈 캔슬레이션 기능이 발휘된 덕이다.

전기차 주행의 특징인 회생제동과 원페달 드라이빙을 즐기려면 운전대 뒤에 달린 ‘가변형 리젠 온 디맨드’ 스위치를 활용하면 된다. 패들 스위치가 압력을 감지해 회생제동 단계를 조절하는 기능으로, 살짝 누르면 감속 수준이 낮고 세게 누르면 감속 수준이 높아진다. 마치 손으로 브레이크를 조작하는 것과 같다.

리릭의 차별점은 이 스위치를 통해 완전 정지까지 가능하다는 점이다. 차량이 없는 도로에서 세게 스위치를 눌렀더니 순식간에 차가 멈춰섰다. 스위치를 눌러 감속하거나 정지할 경우 브레이크등이 켜진다는 설명에는 마음이 놓였다.

가변형 리젠 온 디맨드 스위치를 활용하며 주행한 결과, 전비 5.2㎞/kWh를 기록했다. 공인 전비(3.9㎞/kWh)보다 준수했다. 다만 손으로 회생제동을 조절하다보니 페달에서 발을 떼도 속도가 거의 줄어들지 않아 내연기관차같다. 운전대가 다소 묵직한 점도 아쉽다.

캐딜락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리릭(LYRIQ)’ 전면부(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여러 모로 만족스러운 전기차이지만, 문제는 가격이다. 럭셔리 전기 SUV의 정수를 맛보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가격일지 잘 따져봐야 할 듯 하다. 한국에서 구매할 수 있는 리릭은 최상위 ‘스포츠(Sport)’ 트림뿐으로, 판매 가격(개별소비세 5% 기준)은 1억696만원이다.

캐딜락 관계자는 “브랜드 이미지 측면에서 옵션이 상대적으로 적게 들어간 하위 트림을 들여오는 것이 경쟁력이 없다고 판단했다”며 “럭셔리 세그먼트(차급)의 경우 최상위 트림에 고객 수요가 몰리기 때문에 이같은 정책을 유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