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아이에스동서, 폐배터리 재활용사업 위해 충북도·청주시와 MOU

안혜신 기자I 2022.12.15 08:35:36
[이데일리 안혜신 기자] 건설·환경·제조 종합기업 아이에스동서(010780)는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위해 지난 14일 폐배터리 자원순환시설 건립 투자 협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협약식은 충북도청에서 진행됐으며, 권혁운 아이에스그룹 회장, 권민석 아이에스동서 사장, 김영환 충청북도 도지사, 이범석 청주시 시장 등 관계자 10여명이 참석했다.

아이에스동서는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지난달 경기 화성에 연간 7000톤(t) 처리 규모 수도권 최대 물량을 처리할 수 있는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 부지를 매입한데 이어 중부권 거점 지역에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확대를 위한 대규모 부지를 확보하게 됐다.

사진 왼쪽부터 이범석 청주시장, 권혁운 아이에스동서 회장, 김영환 충북도지사(사진=아이에스동서)
오창 테크노폴리스는 충북 청주시 오창읍 일원에 199만5937㎡(약60만3571평) 규모로 2025년부터 조성되는 산업단지다. 특히 오창은 대한민국 중심부에 위치해 이차전지 재료 확보와 고객사 납품을 위한 지리적 접근성이 뛰어난 곳으로 국내 최대 배터리 생산기업 LG에너지솔루션(373220)과 양극재를 생산하고 있는 에코프로(086520) 등 이차전지 기업 및 부설 연구소 등이 이미 자리잡고 있다.

아이에스동서는 이번 협약을 통해 확보한 청주시 오창테크노폴리스 내 9만9000㎡(약 3만평) 부지에 약 2500억원 규모 사업비를 단계별로 투자해 건축면적 7만4250㎡(약 2만2500평)에 파쇄 전처리 시설(블랙매스 제조) 및 배터리 원재료 추출이 가능한 후처리 시설(배터리 원재료 제조)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차전지 원재료 추출 북미 최고 기술력을 보유한 캐나다 배터리 리사이클 업체 리시온(Lithion)과의 협업을 통해 2025년부터 2029년까지 2단계로 나눠 구축하게 된다.

파쇄 전처리 시설은 친환경 습식 파쇄 기술을 통해 방전을 최소화하고 회수율을 극대화하여 총 3만톤 규모, 전기차 약 10만대 분량의 폐배터리 처리 용량을 확보할 수 있어 국내에 지어지는 전처리 시설로는 국내 최대 규모다.

또 원재료 추출 후처리 시설 역시 친환경 습식 공정을 통해 업계 최고 수준의 회수율과 순도로 황산니켈, 황산코발트, 탄산리튬 등을 분리 및 추출한다. 특히 탄산리튬의 경우 연간 3000톤 이상을 생산해 이 역시도 국내 최대 규모가 될 전망이다.

아이에스동서는 이번 투자를 통해 기존 관계사인 인선모터스, 타운마이닝캄파니(TMC)와 함께 ‘폐배터리 회수-파쇄-추출’로 이어지는 배터리 리사이클링 전과정 밸류체인을 확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수도권 및 중부를 잇는 폐배터리 회수 네트워크도 완성하게 된다.

권혁운 아이에스동서 회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미래산업 육성을 위해 충북과 청주시에서 적극적인 지원을 해주셔서 기대가 크다”면서 “환경부문을 기업의 핵심 성장동력으로 삼고 사업을 확대하고 있는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오창 테크노폴리스 배터리 캠퍼스가 아이에스동서의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의 핵심기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영환 충북도지사도 “충북이 이차전지 산업 메카인 만큼 아이에스동서의 혁신 성장을 적극적으로 돕겠다”면서 “공공과 민간이 협력하여 지역경기 활성화와 고용창출에도 큰 효과가 기대된다”고 답했다.

아이에스동서가 2019년 인수한 폐자동차처리 업계 1위 인선모터스는 경기 고양에 위치해 국내 폐자동차 재활용분야(해체 및 파쇄)에서 현재 약 40%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폐배터리 방전·해체 시스템을 통해 연간 7500톤 규모의 폐배터리를 처리하고 있다. 지난해 이차전지 전구체 원재료인 NCM솔루션 및 탄산리튬 등을 생산하고 있는 경북 구미 소재 TMC에 투자했으며, 지난달 경기 화성에 수도권 최대 규모 폐배터리 전처리 설비 구축을 위한 공장 부지를 매입해 내년 초 착공 예정이다.

아이에스동서는 이번 투자를 통해 구축될 오창 테크노폴리스 배터리 캠퍼스 및 관계사와의 시너지가 극대화되면 향후 본격적인 폐배터리 재활용 시대 돌입 시 국내 최고의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기업으로 업계를 선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