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르포]백두산호랑이 '백두산 뛰어놀 날 기다립니다'

박진환 기자I 2018.05.15 06:30:00

亞 최대 경북 봉화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가보니
백두산호랑이 두만·우리·한청이, 호랑이숲서 적응 완료
먹성 좋고 사육사와 친밀한 관계… 왕성한 호기심 보여
해외서 추가 도입 등 백두산호랑이 종 보전에 주력키로

백두산호랑이 우리(사진 뒷줄)와 한청이(사진 앞줄)가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내 호랑이 숲에서 활동하고 있다. 사진=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제공
백두산호랑이 우리(7·수컷)와 한청(13·암컷)이가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내 호랑이 숲에서 활동하고 있다.
사진=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제공
[봉화=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5월의 첫번째 연휴가 끝난 8일 경북 봉화의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는 흐린 날씨속에서 적막감이 흘렀다. 이날은 임시 휴장일로 관람객들의 모습을 찾아볼 수는 없었다.

5179㏊ 규모의 백두대간수목원 곳곳에서 만개한 2002종, 385만본의 야생식물들만이 취재진을 맞이했다. 지난해 국립수목원과 서울대공원에서 수목원으로 이사 온 두만(17·수컷)과 우리(7·수컷), 한청(13·암컷) 등 백두산호랑이 3마리는 낯선 방문객을 물끄러미 바라봤다.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이 조성한 호랑이 숲 전경.
사진=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제공
◇국내 유일의 호랑이 안식처

백두대간수목원은 단일 동물 사육시설로서는 처음으로 4.8㏊ 규모의 호랑이 숲을 조성했다. 호랑이 숲은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의 상징성을 높이고 호랑이에 가장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해 멸종될 위기에 처한 백두산호랑이의 종 보전을 위해 조성한 공간이다.

지난 4일 일반 국민들에게 처음 공개한 이곳 호랑이 숲에서는 백두산호랑이 ‘우리’와 ‘한청’이의 적응 훈련이 한창이다.

백두산호랑이의 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산림동물관리팀 민경록 사육사는 “몸무게 220~230㎏의 ‘우리’는 성격이 무던한 편으로 먹성이 좋아 소고기와 닭고기 등 모든 사료를 잘 섭취하고 있고, 사육사들과도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는 지난해 서울대공원에서 이곳으로 이송된 이후 주변 환경에 대해 왕성한 호기심을 보이고 있으며, 선선해지는 야간에 주로 활동한다. ‘한청’이(몸무게 180~190㎏) 역시 변화된 환경에 빠르게 적응하고 있으며, 같은곳에서 온 우리와 각별한 친밀감을 표시한다. 서로 앞발로 툭툭 치며, 장난을 치는가 하면 서로의 얼굴을 상대방 몸에 비비는 등 친분을 과시하는 모습이다.

이들 우리와 한청이는 수목원 내 식물에 대해서도 호기심 천국이다. 냄새를 맞는가하면 꽃을 건들려보기도 하고, 풀을 손이나 입으로 만지는 등 항상 모든 것을 궁금해하는 아이들을 보는 듯 했다.호랑이 숲에 조성된 연못은 우리와 한청이가 가장 좋아하는 놀이터다. 털이 많아 자체적으로 열을 식히기 어려운 백두산호랑이는 다른 고양이과 동물들과 달리 물을 좋아한다고 한다.

민 사육사는 “지난해까지 주변 환경과 시설에 대한 적응을 끝내고, 올해부터 우리와 한청이, 두만이가 모두 서로에 대한 호기심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가장 나이가 많은 두만(170~200㎏)이는 같은 개체인 우리나 한청이에 대한 관심보다는 자기 영역에 집착하는 모습이다.

성격도 우리와 한청이보다 예민해 주변 환경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목원 측은 수컷끼리의 영역 다툼을 피하기 위해 두만이와 우리를 별도 관리하고 있다.

현재 관람객들이 볼 수 있는 호랑이 숲에는 우리와 한청이만 방사하고 있으며, 두만이는 별도 개별적인 공간에서 사육되고 있다.

백두산호랑이 두만이..
사진=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제공
◇백두산호랑이 추가 도입 추진

시베리아호랑이와 유전학적으로 동일한 개체로 인정받고 있는 백두산호랑이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으로 우리나라에서는 1920년경 경북 경주 대덕산에서 포획된 수컷 호랑이를 끝으로 한반도에서 자취를 감췄다.

그간 무분별한 근친교배로 아시아권 내 백두산호랑이는 순수 혈통을 상실했고, 유일하게 러시아와 유럽 등지에서만 유전적으로 온전한 백두산호랑이가 서식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정부는 백두산호랑이의 종 보전을 위해 러시아와 유럽 등의 국가들과 추가 도입을 협의 중이다.

백두대간수목원은 해외로부터 우수 혈통을 가진 백두산호랑이를 추가 도입해 국내에서 자연 임신과 포유, 분만 등을 통해 계속 늘린다는 계획이다.

민 사육사는 “백두산호랑이의 유전학적 다양성 확보가 가장 궁극적으로 목표”라면서 “과거에는 양적인 측면만 고려하다보니 근친교배 등의 부작용이 속출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호랑이는 환경에 대단히 민감한 동물로 좁은 방사장이 아닌 넓은 숲에서 자유롭게 뛰어노는 행위 자체가 호랑이에게는 최적의 환경”이라며 “호랑이 숲을 방문한 관람객들은 동물에게도 선택권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 호랑이들에게 소리를 지르거나 자극하는 등 스트레스를 주는 행동을 자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