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CJ CGV, 수익구조 개선 효과…실적 개선세 전망-유안타

이용성 기자I 2024.05.23 08:00:29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유안타증권은 23일 CJ CGV(079160)에 대해 해외 주요 지역에서 실적 개선세를 이어갔으며 향후에도 수익구조 개선 효과가 반영되며 실적 개선세가 뚜렷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가는 7000원을 제시했다. 전 거래일 종가는 5630원이다.

(사진=유안타증권)
이환욱 유안타증권 연구원에 따르면 CJ CGV의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392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2% 늘고, 영업이익은 45억원으로 흑자전환하면서 4개 분기 연속 영업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국내의 경우 전국 영화 관람객 수는 약 3091만명 수준으로 지난 2019년 1분기 대비 56% 회복에 그쳤으나, 동기간 평균티켓가격(ATP)과 인당매점매출(SPP)은 각각 16.4%, 60.9% 상승한 영향으로 영업적자가 축소됐다.

베트남·인도네시아·튀르키예 등에서는 주요 해외 국가 관람객 수 회복세에 기인 실적 개선세를 기록했다. 베트남에서 로컬 콘텐츠 ‘MAI’, ’파묘’의 흥행으로 매출액 664억원, 영업이익 112억원으로 역대 분기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인도네시아 역시 관람객 수 회복에 따른 완연한 실적 개선세를 이어갔으며, 튀르키예는 비효율 사이트 구조개선에 따른 이익 개선세가 가팔랐다. 다만, 중국의 경우는 비효율 사이트 축소에 따른 일시적 시장 점유율 하락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8.1% 하락했다.

이 연구원은 올 한 해 대작 콘텐츠 개봉 확대에 따른 분기별 실적 개선세는 지속될 것이라 전망했다. 먼저 ‘혹성탈출4: 새로운 시대’, ‘퓨리오사’, ‘데드풀3’, ‘범죄도시4’, ‘베테랑2’ 등 풍부한 콘텐츠 라인업을 기반으로 국내외 관람객 수 회복세가 지속될 것이라 전망되기 때문이다.

이 연구원은 “평균티켓가격과 인당매점매출 상승 효과 및 수익 구조 개선 효과가 본격적으로 반영되며 이익 개선세가 뚜렷할 것이다”라며 “또, CJ올리브네트웍스 출자 전환 완료 시 실적 개선세는 더욱 가파를 전망인데, 연간 이익 규모는 500억원 수준으로 파악되기 때문이다”라고 전했다. 다만, “추가적인 신주 발행에 따른 주주가치 희석은 불가피할 전망으로 단기적인 주가 회복세는 더딜 전망이다”라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