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대한제국 황실 공예품 ‘은제이화문합’ 국가등록문화재 된다

김기덕 기자I 2021.09.06 09:00:00

공예품 전문기관 한성미술품제작소 작품
당시 신기술인 프레스 기법 도입한 첫 사례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대한제국 황실 전용 공예품 전문 제작기관으로 최초 설립한 한성미술품제작소에서 만든 의례용 공예품 ‘은제이화문합’이 6일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 예고된다. 앞으로 문화재청을 통해 한 달간 각계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등록 여부가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

은제이화문합은 서울공예박물관에 소장 중인 문화재로 상설전시 ‘장인, 세상을 이롭게 하다’ 중 ‘대한제국의 공예’를 통해 시민 누구나 관람할 수 있다.

은제이화문합은 은으로 만든 뚜껑이 있는 발(鉢)로 음식을 담을 수 있는 탕기(湯器)의 일종이다. 높이 12.4cm, 지름 18.2cm로 1908~1910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일상용 그릇이 아닌 대한제국 황실의 행사나 의례에 사용하기 위해 제작됐다.

서울공예박물관이 소장 중인 ‘은제이화문합’ 모습.
시는 해당 작품이 조선왕실 의례용 공예품의 의장을 계승했으며, 당시 해외 신기술인 프레스(Press) 기법을 도입해 만든 최초의 사례라는 점에 주목했다. 또 대한제국을 상징하는 문장인 이화문 장식으로 공예가 맥을 계속 이어나갔음을 보여주는 문화재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를 지닌다고 설명했다.

은제이화문합은 뚜껑 중앙에 연꽃봉오리 모양의 꼭지가 달려있고 꼭지를 중심으로 대한제국을 상징하는 오얏꽃(이화문장)이 화려하게 양각돼 있다. 뚜껑 측면에는 ‘만수무강(萬壽無疆)’이 고전적인 전서체로 도금돼 장식돼 있다. 문자와 문자 사이에는 도교 사상을 담은 칠보문양이 새겨져 있다. 동체에는 글자 ‘길상여의(吉祥如意)’를 전서체로 넣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은제이화문합은 근대 공예제작기술과 산업화에 한 획을 긋는 중요한 사례로 우리나라 금속공예 역사를 심층적으로 연구하는데 학술적으로 중요한 근거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