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서울시, LH공공주택 3만9000세대에 태양광 보급…온실가스 1.5만t 줄인다

양지윤 기자I 2020.11.12 06:00:00

서울시-LH '서울형 그린뉴딜 확대' 업무협약
노후주택에 단열설비 등 에너지효율개선
주민과 이익공유 전력중개사업도 추진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서울시가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 태양광 설치가 가능한 LH 공공주택 3만9000세대에 태양광을 집중 보급한다. 옥상·주차장 등 공용시설 유휴공간에도 태양광을 설치한다. 이를 통해 연간 1만5000t 이상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 마포구 한 아파트에 설치된 미니 태양광.(사진=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12일 서정협 권한대행과 변창흠 LH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이 서울시청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서울형 그린뉴딜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우선 LH 서울지역 공공임대주택 총 5만여 세대 중 3만9000세대에 태양광을 집중 보급해 연간 1만5000t 이상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거둔다는 계획이다.

특히 공공임대주택 2만2300세대에 2만5443kW 규모의 미니 태양광을 보급할 경우 온실가스 감축효과 뿐만 아니라 입주민들의 전기요금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고 시는 설명했다.

공동주택 옥상, 주차장 등 유휴공간도 활용해 약 2901kW 규모의 태양광 설비를 구축한다. 생산된 전기를 공동 시설에 사용하거나 판매토록 할 방침이다. 또 연료전지 등으로 생산된 열과 전기를 단지 내부에서 사용하고, 잉여전력은 판매하는 에너지스테이션 시범사업도 추진한다.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20년 이상 노후 주택과 공공 건축물 119개소에 대해서는 에너지진단을 시행하는 ‘에너지효율 개선사업’을 추진한다. 건물단열 등을 통해 에너지사용량을 최소화하고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제로에너지빌딩 건축을 통해 에너지 자립률 20%인 제로에너지 5등급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우선 매입임대주택 3개소를 지정해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연차적으로 확대한다.

전력수요관리 사업과 LH 보유 태양광을 활용해 주민과 함께 이익을 공유하는 ‘전력중개사업’도 진행한다. 사업은 각 가정의 전력 생산·소비 데이터를 취합하는 지능형 전력계량기를 부착해 전력 생산·소비를 효율화하고, 전력예비율이 낮아질 때 전력수요관리에 참여해 부가수입을 창출하는 구조다.

서울시는 태양광 설치보조금 지원, 인허가, 입주민 대상 태양광 안내와 홍보 등 행정·재정적 지원에 나선다.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은 “이번 협악이 구호를 넘어 현장의 실질적 변화를 견인하고 다양한 미래 그린에너지 모델을 창출해 전국구 실천모델로 확산하는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