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이회영기념관, 남산예장자락서 사직동으로 이전

이배운 기자I 2024.06.23 11:15:00

20세기 美선교사들이 지은 서양식주택 '묵은집' 이전
"전통과 근대성, 독립운동과 현재가 만나 재구성"

[이데일리 이배운 기자] 서울시는 독립운동가 우당 이회영 선생을 기리는 이회영기념관을 종로구 사직동으로 이전한다고 23일 밝혔다.
사직동 묵은집 전경 (사진=서울시)
2021년 6월 남산예장자락에 개관한 이회영기념관은 이날 운영을 마치고 내달 17일 ‘묵은집’에서 재개관할 예정이다.

기념관이 이전하는 옛 선교사 주택인 ‘묵은집’은 20세기 사직동 언덕에 들어선 서양식 주택으로, 미국 남감리회가 조선 땅에 파송한 선교사들이 살던 곳이다.

근대 건축물 고유의 미감과 가치를 지닌 사직동 묵은집(지하 1층, 지상 2층, 면적 311㎡ 규모)은 2019년 서울시가 우수건축자산으로 지정한 공간이다.

이회영기념관 이전과 3주년 행사를 기획한 서해성 감독은 “사직동 묵은집에 새로 보금자리를 마련하는 이회영기념관은 전통과 근대성, 독립운동과 현재가 만나 재구성돼, 또 다른 모습으로 시민들과 만나는 ‘벗집’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종걸 이회영기념관 관장은 “새 이회영 기념관 마당에는 200년 넘게 묵은 느티나무와 백 살은 먹은 느티나무가 나란히 서 있어 이회영 선생이 조국 광복을 위해 독립투쟁을 결심한 ‘쌍회정’에 다시 돌아온 셈”이라며 “새 둥지를 틀게 된 공간에서 시민들이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김승원 서울시 균형발전본부장은 “오래도록 닫혀 있던 사직동 묵은집이 ‘시민 벗집’으로 새로 태어나는 것은 많은 독립운동가들과 함께 이름과 같은 삶을 살았던 이회영 선생의 삶을 기리는 일”이라며 “아름다운 집에 가치를 보탤 수 있도록 시민들의 관심과 발걸음이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