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증시 상승 재료 부족…환율 등 매크로 환경에 상단 제한될 것"

이용성 기자I 2024.05.24 08:09:59

키움증권 보고서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국내 증시를 높이는 상승 재료가 부족함에 따라 환율·금리 등 매크로 환경으로 당분간 상단이 제한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키움증권)
24일 김지현 키움증권 연구원에 따르면 간밤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의 9%대 급등에도 엔비디아를 제외한 거의 전업종이 약세를 보였다. 이를 두고 김 연구원은 “지수는 장중 큰 변동폭을 보이며 하락 전환됐고, 매크로 영향이 제한될 것으로 보았으나 성장에 대한 기대보다는 실적시즌 종료에 따른 어닝 모멘텀 소멸, 위험 자산에 대한 경계심리 높아진 상태”라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떨어지는 경제 지표가 차익 실현 명분으로 작용할 만큼 심리가 취약한 구간으로 판단한다”고 전했다.

페드워치상 올해 2회 인하가 아닌 9월 1회 인하할 확률이 가장 높아진 상황이다. 9월 금리인하 가능성 여전히 유효하지만,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공개 이후 하락해 46%에 도달했다. 다음 달 월초 경제 지표에서 성장 데이터가 유지될 경우 인하 가능성은 더 후퇴할 수 있다는 것이 김 연구원의 전망이다.

이에 따라 이날 국내 증시는 재료가 부재한 가운데 시장금리 4.4%대, 환율 1360원대 등 제약적인 매크로 환경이 상단을 제한할 것으로 김 연구원은 내다봤다. 전일 엔비디아 시간 외 강세로 코스피 역시 전고점 돌파 시도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기관 중심으로 셀온 물량 출회 및 반도체 업종은 상승폭 축소했기 때문이다. 미국 증시와 마찬가지로 지수 추가 상승보다는 밸류에이션 부담으로 인한 차익 실현에 더 무게가 실리고 있다는 판단이다.

김 연구원은 “증시의 연속 상승이 어려워진 구간이므로 반도체, 자동차 등 대형주의 움직임에 주목해야 한다”며 “추가로 AI 수요 증가 및 전력확보 이슈, 미중 관세부과 수혜 관련해서 태양광, 수소, 원전 비롯한 에너지 업종에 대한 관심이 오르고 있어, 이 또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